Χ

추천 검색어

최근 검색어

사내에 편의점이 있는 회사가 있다?

 

가끔 스타킹에 올이 나가서 곤란한 상황, 여자라면 한 번쯤 경험해봤을 것이다.  당황스러움은 이루 말할 수 없거니와 스타킹을 사기 위해 편의점에 왔다갔다 하는데만 해도 시간이 꽤 걸린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 회사의 대표는 사내에 편의점을 만들어버렸다. 어떤 직원이 오피스 보다 카페에서 일하기를 선호하는 것을 본 이 회사의 대표는 전문 바리스타를 고용하고 회사에 카페를 차렸다. 과연 어떤 회사일까?

 

토스 - 대한민국 20대의 60%가 사용하는 앱

 

토스는 최근 핀테크 기업으로는 최초로 1조 클럽 유니콘 기업이 되었다. 2015년 2월 출시된 이래, 현재까지 누적 송금액은 29조. 누적 투자 금액 2200억원. 누적 가입자 1000만명. 첫 해 매출 35억에서, 현재 매출은 약 560억원으로 무려 16배 가량 상승했다. 

 


토스 앱 화면(출처 : Toss 공식 홈페이지)

 

1조 가치를 가진 이 기업의 임직원은 단 170명, 이렇게 적은 인원이 한 해에 시도한 프로젝트의 수는 실로 어마어마하다. 지난 일년간 런칭한 서비스는 52개고, 그 중 26개의 서비스가 살아남았다. 이런 성과는 어떻게 가능했을까? (쿠팡은 1조가치에 도달할 때 직원이 1000명 수준이었다고 한다)

 

토스팀의 성장 (출처 : Toss 공식 홈페이지)

 

토스 이승건 대표는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일을 싫어한다’는 문제의식을 해결했다. 목표가 없는 사람이 모이면 일이 재미 없고, 시장과 경쟁하지 않고 부서끼리 경쟁을 하고, 일하게끔 쪼는 매니저가 있어야 한다. 그러다 보니 평가와 보상을 만들어야하고, 사람들은 퇴근 이후가 보장되는 삶을 워라밸이라 부르며 더 즐거워한다. 

 

인간은 일하기 좋아한다!

 

이런 문제의식을 뒤집은 토스팀의 믿음은 ‘인간은 일하기 좋아한다!’는 것이다. 내가 생각했을 때 너무 재밌을 것 같은 서비스를 런칭하고 사람들이 좋아한다면 즐겁지 않을까? 그래서 그는 목표와 성취 추구가 뚜렷한 사람들로 팀을 꾸렸다. 경쟁력은 조직구조와 극단적 투명성과 개방성이다.

 


토스 이승건 대표 (출처 : Toss 공식 홈페이지)



그는 임직원 170명에게 모두 법인카드를 제공했고, 사용에 아무런 제한을 두지 않았다. 얼마를 어떻게 사용하든 그것은 직원 마음. 대신에, 그는 매월 회사의 매출과 영업이익, 그리고 개인이 사용하는 금액을 공개했고 이것이 책임감 있는 카드 사용으로 돌아왔다. 모든 사람을 어른으로 대하고 믿고 맡긴다는 생각이다. 그리고 회사 정보를 모든 직원에게 동일하게 공유했다.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가 다 머리속에 있고, 굳이 찾지 않더라도 머리 속에 정보가 있도록 해야 한다. 정보 공유를 통해 직원들이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한다면 훨씬 편익이 커진다는 것이다.

 

일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 

무제한의 휴가, 식대 100% 지원, 1억원 무이자 대출, 사내 카페와 편의점 운영 등의 복지를 제공하여 토스팀이 더 회사를 사랑하게 만들고 일에만 집중하도록 했다. 대신 최고의 성과를 내지 않는 사람들은 과감히 내보낸다. 

이승건 대표는 가장 사내에서 일 잘하는 사람들의 공통 특징을 모아서 핵심 가치로 정리했다. KPI는 바로 이 핵심가치에 따라 달라진다. 이 가치로 채용, 평가, 보상, 해고, 승진 모든 것이 이루어진다. 바로 이것이 토스팀의 ‘원칙’ 이 아닐까

 

토스팀의 핵심가치가 궁금하다면? : https://blog.toss.im/2018/01/29/team/culture/toss-core-values/

 


 


토스팀의 목표 (출처 : Toss 공식 홈페이지)

 

 



누리 작가님의 글 더 '보러가기'



최근 콘텐츠


더보기

기업 탐색하기 🔍

크레비스파트너스

크레비스는 15년 이상의 역사와 전문성을 가진,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임팩트 벤처 그룹입니다. 사회 및 공공이 해결하지 못한 영역에서 혁신적인 기술로 임팩트를 전파하고자 기업들을 발굴, 투자, 육성하고 있습니다. 2004년 창업 초기, 많은 시행 착오를 경험하며 20대 초반의 우리는 "인생의 30년 여정"에 대한 생각을 하였습니다. 당시는 사회 전반적으로 2000년대 초반의 닷컴 버블이 꺼지며 창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확고하던 시기입니다. 그런 환경에서 지속 가능한, 그리고 사회를 변화시키는 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단지 재미와 의지만이 아닌, 철학과 미션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누군가는 후배들에게 취업과 진학 외에도 길이 있다는 것을 보여줘야 하지 않을까’ 라고 결심하며 과감히, 그리고 무모하게 창업과 사업이란 길을 선택했습니다. 우리가 계획한 30년 여정 중 15년이 지난 지금, 크레비스는 시장 실패 영역에서 직접 사업을 운영하며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또한 우리의 도전에 동참하는 용기 있는 후배들을 지지하고, 공동창업자로 육성하며, 임팩트 펀드 운영을 통해 임팩트 생태계를 확장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 크레비스파트너스 홈페이지: http://www.crevisse.com

미디어/디자인/방송/광고/예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