Χ

추천 검색어

최근 검색어


#세계 최고 엑셀러레이터 Ycombinator에서 살아남기

야흐로 스타트업의 시대다. 자고 일어나면 새로운 서비스가 생겨나고, 트렌드를 따라가기조차 힘들다. 회사를 때려치우고 창업에 도전하는 지인 수도 부쩍 늘었다. 그렇다면 얼마나 많은 기업이 성공할까?

국내 스타트업의 성공률 1%
- 카이스트 기업가정신연구 센터장

창업 실패의 요인은 다양하다. 공동 창업자 간 불화, 자본금 부족, 구현이 어려운 아이디어, 미흡한 시스템 등... 특히 첫 창업은 더 어렵다. 브랜딩, 마케팅, 디자인, 정책 대응 등 신경 쓸 것이 너무 많다.

어서 와, 스타트업은 처음이지?

 

이런 스타트업을 서포트하기 위해 존재하는 단체, 액셀러레이터(Accelerator). 신생 스타트업을 발굴해 투자 및 마케팅과 홍보 업무 등을 지원하는데, 국내에도 여러 액셀러레이터가 있다. 그렇다면 세계 최고의 액셀러레이터는 어디일까?

 

Y Combinator 

Y Combinator(이하 YC)는 2005년 설립된 세계 최고의 실리콘밸리 액셀러레이터다. 액셀러레이터 계의 하버드, 스탠퍼드라고 불린다. 

2017년 액셀러레이터 순위, 최상급으로 평가받은 YC (출처 : SARP)

현재까지 1900여 개 팀에 투자했으며, 4000명의 창업자가 포진한 스타트업 커뮤니티이기도 하다. YC는 일 년에 두 번 스타트업을 선발하며, 모든 기업에 동일한 가치를 매겨 각각 12만 달러를 투자하고 7%의 지분을 갖는다. 2018년 겨울 시즌 기준, 140개 팀에게 약 180억 원을 투자한 것인데, 이로서 투자 의사 결정의 복잡성을 해소한다. 대표적인 YC 출신으로는 에어비앤비, 드롭박스, 스트라이프 등이 있다. 

 

YC가 투자한 대표적 기업들

 

매 기수마다 7000건의 도전장이 쏟아지지만, YC에 입성하는 기업은 2%, 단 140개. 이렇게 어렵게 선발되어도 살아남을 가능성이 극히 희박하다니, 스타트업의 생존 정말 어렵다. 물론 YC에 들어간다고 해도 성공이 보장되지는 않는다.

너희가 잘나서 합격했다고 생각하겠지만, 
결국 너희 중 90퍼센트는 죽을 것이다. - YC

 


YC 프로그램의 강점?

 

끝없는 자극

YC에 합격한 사실만으로도 어느 정도 실력을 인정받은 것이다. 이는 다른 참가 팀도 어마 무시하게 쟁쟁하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들과의 경쟁은 잠을 줄여가며 일할 지속적 자극제가 된다. YC 또한 '일, 잠, 밥, 운동 말고는 아무것도 하지 마라.', '최고의 창업가는 바퀴벌레와 같다' 등의 명언으로 참가자들에게 일침을 가한다. 

 

거미줄 같은 네트워킹의 장, Tuesday Dinner 

Tuesday Dinner (출처 : YC 홈페이지)

실리콘밸리의 성공한 창업자, 투자자들을 만나 매주 저녁 식사를 한다. 창업자 파트너 동문, VC, 상장사 임원들이 참여하는 자리로 강연을 듣고 사업적 교류가 가능하다. 비하인드 더 신이라는 창업 뒷 이야기를 들을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창업자와 일의 어려움을 나누는 힐링의 장이기도 하다. 일이 잘되든 잘 되고 있지 않든 고민은 끊이지 않기 때문에 스타트업 대표들은 외롭다(직원들에게 찡찡거릴 순 없다).

 

오피스아워

YC의 파트너들과 스타트업 창업자들이 만나 조언을 받는 자리다. 같은 그룹의 창업자, 파트너들이 회사 사정 공유하고 한 주간의 성과, 문제에 대해 이야기한다. 일종의 일대일 튜터링 방식. 사업에 몰두하다 보면 시야가 좁아지거나 방향이 틀어지기도 하는데, YC는 끝없는 일침으로 참가 기업의 성장을 돕는다.

 

YC 동문 핫라인과 북페이스

 ‘YC 출신’이라는 공통분모를 바탕으로 동문 - 동기간의 연락망이 잘 갖춰져 있다. 조언을 듣고 싶거나, 특정 인력이 필요할 때 어디에 물어볼지 막막한 경우가 많은데, YC는 이미 소통 가능한 채널을 구현해두었다. 핫라인으로 메시지 보내면 직접 메일 전달되고 대부분 바로 답변이 오고, 북페이스에 아는 사람이 있거나 소개해달라면 답변이 즉각 달린다고 한다. 

 

대망의 데모데이

YC 데모데이

3개월 간의 성과를 쏟아내는 마지막 런웨이다. 팀당 3분 발표 시간이 주어지고, 2일에 걸쳐 진행된다. 데모데이 2주 전부터 피치를 준비하며 YC 파트너가 내용부터 슬라이드 하나까지 피드백을 준다. 발표를 잘하면 투자자가 원하는 스타트업과 즉시 20분간 미팅을 하기도 한다. 어떻게 매력 어필을 할지, 얼마나 투자를 받을지가 결정되는 승부처다. 그렇기에 많은 창업자가 데모데이를 준비하며 스트레스를 심각하게 받는다고 한다.  


 

어떤 기업이 YC에 합격할까? 합격자들이 말하는 꿀팁

 

숫자, 숫자, 그리고 숫자

수치로 증명할 트랙션이 있어야 합격률이 높다. 인터뷰에서도 매출, 성장률, 유저 수, KPI, 장기적 목표 등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할 때 합격할 확률이 높다. 하지만 생각보다 기업 내에서 ‘숫자’로 소통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우리 기업이 제공하는 서비스, 가치에 대해서는 임직원들이 공감하고 있더라도 세부 숫자까지 전 직원이 인식하기는 어렵다. 

근거에 기반한 구체적 수치를 제시하라

얼마 전 송금 앱 ‘토스’ 대표의 강연을 들은 적이 있다. 전사 직원에게 법인카드를 주고, 사용에 아무런 제한을 주지 않는다. 단, 매월 회사 매출액이 얼마고, 영업 이익이 얼마인데 당신이 사용한 금액이 얼마다 라고만 알려준다. 자연스럽게 직원은 본인이 지출한 금액에 대해 책임감을 느끼고 회사의 성장률, 매출 등에 대해 인지하게 된다. ‘숫자’를 기반으로 한 정보 공유의 좋은 예라고 생각한다. 

 

원 라이너 코칭

한 줄로 회사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구구절절 설명을 해야 상대방이 이해하는 서비스는 공감을 얻기 힘들다. YC는 문제 정의를 길게 하면 싫어한다. 추상적이고 거창한 형용사를 제외하고 간결하고 정확히 답할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은 스타트업뿐 아니라 어떤 회사든, 그리고 개인에 대해 PR을 할 때도 언제든 적용되는 방식이라고 생각된다. 

 

한국 VC와의 차이

한국 VC는 돈을 잃지 않기 위해 노력하고, 미국 VC는 돈을 벌기 위해 노력한다. 하이리스크 하이 리턴을 지향하는 미국과는 달리 한국 VC 90% 이상이 정부자금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공적인 성격이 크다. 즉, 한국에서 투자를 받기 위해서는 정부가 원하는 비전과 투자 검토 보고서 제출해야 한다. 어느 것이 더 좋다고 평가할 수 없지만, 투자받을 대상과 진출 시장에 따라 PR 방식은 분명 달라야 한다. 한국 VC는 스타트업을 교육 대상으로 생각하는 반면, YC는 조금 더 방임하되 스스로 사업을 알아서 열심히 하는 기업을 선호한다. 

 

좋은 구성원

친하고, 오랫동안 함께 일한 공동 창업자의 중요성

YC는 몇 명의 공동 창업자가 있으며, 얼마나 친하고 얼마 동안 함께 일했는지 궁금해한다. 개발자, 기획자, 마케터 등 직무가 적절하게 구성되어 있는지도 평가 기준이다. 물론 리더가 가장 중요하다. 좋은 리더가 좋은 기업을 만든다. 좋은 리더는 일을 시키는 사람이 아니라 목표를 설정하는 사람이며, 자신보다 훨씬 해당 업무를 잘할 사람을 찾아 앉히는 것이다. 조직원들이 공동의 미션을 중심으로 뭉치게끔 자극을 주면, 상황이 좋지 않을 때도 단단히 살아남을 수 있다. 

 

인터뷰 관련 기타 정보

면접은 1,2차  혹은 3차까지 가기도 한다. 보통 30분 내로 인터뷰 끝난다. 

왕복 항공권이 지원된다.

인터뷰 준비하며 YC 창업자의 영상을 보는 것이 도움된다. 그들이 지향하는 바와 단어를 익히고 인터뷰에 임하자.

 


 

끝으로, YC의 선택받은 한국 스타트업 대표들의 명언

 

현재까지 YC에 입성한 한국 기업은 6군데, 시어스랩, 샌드버드, 미소, 숨고, 심플해빗, 미미박스이다. 그들의 자세한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Why, YC'를 읽어보라. 그중 가장 기억에 남는 명언 3개로 이번 글을 마무리코자 한다.

 

미소 - 빅터칭 대표 (가사 도우미 앱)

일을 삶의 한 부분으로 받아들이는 사람, 일상에서 아이디어를 얻고 자발적으로 자문을 구하러 다니는 사람은 기획자다. 이런 사람은 0에서 200을 만든다.

 

숨고 - 김로빈 대표 (각 분야 전문가들의 능력 공유 플랫폼)

좋은 리더는 일을 시키는 사람이 아니라 목표를 설정하는 사람이다. CEO의 일은 리더의 자리에 자신보다 훨씬 해당 업무를 잘할 사람을 찾아 앉히는 것이다.

 

심플해빗 - 김윤하 대표 (명상 앱)

 미션을 중심으로 모인 사람들은 회사를 단단히 한다. 기회가 오는 것을 본 적이 없다. 기회는 만드는 것이다.


 

더 알고 싶다면... (feat. YC의 역사) 

Y Combinator Paul Graham 포함 4명의 공동 창업자가 시작했다. 최초에는 매사추세츠의 캠브릿지, 그리고 캘리포니아의 마운틴뷰에서 각각 하나의 프로그램을 진행했지만 2009년부터는 캘리포니아의 프로그램만 진행되고 있다. 

2009년에는 60개 기업 대상 2백만 달러를 투자했으며, 다음 해의 투자 금액은 4배 이상 증가한 8백만 달러 수준이었다. 2011년부터 개별 참가 기업에게 15만 달러를 투자했다. 2014년 Paul Graham은 Sam Altman에게 대표 자리를 넘겨주었고, 동년에 Altman은 각 참여 기업에게 12만 달러를 투자하고 7%의 지분을 갖는 것으로 규칙을 조정했다. 그 이후로 YC는 바이오테크, 하드웨어 기업에 대한 업무 제휴를 강화하며 투자범위를 확대했다. 그리고 2016년 YC는 11개 기업을 방문하여 국제 스타트업 생태계를 서포트하는 방안을 모색했다. (나이지리아, 덴마크, 포르투갈, 스웨덴, 독일, 러시아, 아르헨티나, 칠레, 멕시코, 이스라엘, 인도)  

 2015년 7월, YC Fellowship Program을 도입했으며, 이는 메인 프로그램보다 초기에 있는 단계의 스타트업을 겨냥한다.

2015년 10월, YC Continuity Fund를 도입했다. 이 기금은 Y Combinator가 3억 달러 이하의 가치로 동창 기업에 비례 투자를 할 수 있으며, Y Combinator 동창 회사의 후기 단계 성장 자금 조달 라운드를 주도하거나 참여할 수도 있다. 같은 기간 YC는 장기간의 기초 연구를 위한 기금인 YC Research를 도입했다. YC 회장인 샘 알트만은 1천만 달러를 기부하였다.

 

더 알고 싶다면 ▶ https://www.ycombinator.com/

Y Combinator

 

www.ycombinator.com

 

 

Make something people want




누리 작가님의 글 더 '보러가기'



최근 콘텐츠


더보기

기업 탐색하기 🔍

SK이노베이션

멈추지 않은 innovation으로 새로운 50년을 향해 나아가겠습니다. Exploring the Energy Frontiers 지난 50여 년 동안 대한민국 에너지 산업을 선도해 온 SK이노베이션은 일찌감치 해외 자원개발 분야에 진출하여 베트남, 페루, 미국 등지에서 사업을 잇달아 성공시킴으로써 세계 자원개발시장에서 주목 받는 기업으로 성장하였습니다. 오늘도 세계 11개국 14개 광구에서 세계적 에너지기업들과 경쟁하며 에너지자립의 꿈을 키워가고 있습니다. Pioneering the World of Opportunities 끊임없는 혁신과 기술개발 투자를 통해 SK이노베이션은 신에너지 분야에서 세계 일류 수준의 Technology Leadership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특히 세계적 수준의 기술력을 자랑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분야에서 글로벌 자동차 메이커와 공급계약을 체결함으로써 본격적인 세계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하였습니다. Developing Future Flagship Technologies 세계는 대표적인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바다 속이나 땅 밑에 저장하는 CCS(Carbon Capture & Storage) 기술과 이를 저감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SK이노베이션은 이러한 이산화탄소를 자원으로 재생산하는 CCU (Carbon Conversion & Utilization) 기술 개발로 지구온난화 방지 및 신소재 생산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미래를 개척하는 기술, SK이노베이션이 개발하고 있습니다. Sharing Success and Delivering Happiness SK이노베이션은 세상의 행복 극대화를 위해 지속적인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SK이노베이션의 사회공헌활동은 단순히 기업의 이익을 사회에 환원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도 사회구성원이라는 인식 아래 지속적인 의무와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특히, 단순한 기부나 일회성 지원이 아닌 근본적인 사회문제에 대한 고민과, 이에 대한 해결노력을 통해 사회변화와 가치 창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서비스/교육/금융 

아디다스 코리아

[HERE TO CREATE] We believe that through sport, we have the power to change lives and we are calling all creators every day. Do you want to change the rules with your imagination? Do you want to hack the future? Join us! [아디다스 소개] 아디다스는 글로벌 스포츠용품 산업의 선두주자로 주력 브랜드에는 아디다스와 리복이 있습니다. 독일 헤르초게나우라흐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6만명 이상의 직원과 함께 2016년에 190억 유로 이상의 매출을 달성했습니다. [브랜드 아디다스 소개] 그 어떤 브랜드도 아디다스만큼 스포츠와 특별한 관계를 맺어오지는 못했습니다. 세계 최고의 스포츠 브랜드가 되는 것은 아디다스의 사명이며, 아디다스가 하는 모든 것은 스포츠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세계 최고의 선수, 팀, 이벤트 뿐만 아니라 가장 혁신적인 제품에는 언제나 아디다스 브랜드 로고인 “뱃지 오브 스포츠”가 함께 할 것입니다. [브랜드 리복 소개] 글로벌 피트니스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리복은 신발, 의류, 각종 장비를 통해 현대인들에게 새로운 피트니스 라이프스타일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피트니스 용품 업계의 선구자로서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한 새로운 기술력을 피트니스 제품에 적용해 소비자들의 잠재력을 이끌어내고 있습니다. 크로스핏과 관련된 제품들을 독점 공급하고 있으며, UFC와 레스밀, 리복 크로스핏 게임즈와 파트너십을 맺고 제품을 공급하는 등 다방면으로 활발한 피트니스 문화 활동을 선도해 나가고 있습니다.

제조/화학/통신 

머크 코리아

여러분만의 특별한 재능으로 머크와 함께 마법을 펼쳐보세요! 커리어 여정을 계속해서 탐험하고, 발견하고, 도전할 준비가 되셨나요? 커리어에 대한 열정으로 가득한 여러분처럼, 머크도 거대한 포부로 가득하답니다! 머크의 전 세계에 있는 구성원들은 과학 기술의 혁신으로 헬스케어, 생명과학, 그리고 전자소재 부문에서 사람들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고 있습니다. 머크의 구성원들은 한마음이 되어 고객, 환자, 인류, 더 나아가 지구의 지속 가능함을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머크가 호기심 가득한 인재를 원하는 이유랍니다, 호기심은 모든 것을 상상할 수 있게 만드는 원동력이니까요. 머크는 1668년 독일의 약국에서부터 시작하였으며, 화학 사업까지 확대하면서 현재 제약, 생명과학, 전자소재 세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현재에는 연 매출 약 30조원 (2022년 기준)을 기록하는 세계적인 대기업이 되었으며, 약 6만 4천명의 직원들이 66개국에서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여 과학 기술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1989년에 설립되어 올해로 34주년을 맞이하게 된 머크 코리아는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에 위치한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이를 비롯해 13개의 연구소 및 공장에서 약 1,700명의 직원분들과 함께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바이오, 디스플레이, 그리고 반도체 강국인 우리나라에서 머크 코리아는 생명과학과 전자소재 비즈니스의 핵심 허브의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제조/화학/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