Χ

추천 검색어

최근 검색어


백그라운드.

온라인 서비스를 만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공감하는 UX의 중요한 지향점 중 하나는, 직관적이고 Seamless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다.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설명이 필요없을 정도로 직관적인 UX를 만들어내는 것이 궁극적으로 바라는 바다.



하지만 가끔은 이렇게 "매끄러운" 사용자 경험에만 지나치게 몰두한 나머지, 더 중요한 것을 간과할때도 있다.
바로 많은 사용자들이 꼭 알아야할 것을 "잘 모른다"는 것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욱 Seamless하게 제공한다는 것보다 우선하는 문제는, 사용자들이 원하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중요한 정보는 분명히 제공해야한다는 것이다.



사용자가 특정 Task를 수행하는 있는 상황에서는 고민할 것이 별로 없다. 아래와 같은 경우가 있겠다.
1) Error 상황이 발생해서 Task가 완수되지 못하는 경우(비밀번호 오류, 가입실패, 결제실패 등)
2) 중요하게 알려야 하는 정보인 경우(결제완료, 등록완료)



이럴때는 Dialog를 쓰거나, 새빨간 텍스트로 안내하는 등 적절한 Interface로 명확하게 알려주면 된다.
보조적으로 알려야할 정보가 있는 경우는 Toast 메세지와 같은 형태로 "참고" 정보를 제공하면 된다.

문제는 아래와 같이 사용자가 특정 Task를 수행하는 것이 아닌 자연스러운 정보 탐색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중요한 정보를 어떠한 Interface로 제공할 것인가의 문제가 있다.

1) 신규 사용자: 서비스의 중요한 기능/가치를 알려야하는 경우
2) 새로운 기능/정보: 사용자에게 꼭 알리고 싶은 경우
3) 사용자들에게 무언가를 Remind 하고 싶은 경우




이럴때 요긴하게(?) 쓸 수 있는 인터페이스 중 하나가 툴팁이다.
사용자의 Task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꼭 알리고 싶은 정보가 있을 경우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이다.

특히 신규 사용자가 꼭 알아야할 기능과 정보를 제공하거나, 새롭게 추가되었거나 변경된 기능을 알릴때 많은 서비스들이 활용하고 있다.
(특히 페이스북이 잘쓰는것 같다)



인스타그램 > 온보딩 Case






페이스북 > 새로운 기능 소개







토스 > 기능 안내




최근 직접 활용한 사례



툴팁 활용을 검토한 "내 정보 맞춤" 기능


1. 근거
우선 "내정보 맞춤" 기능이 사용되는 제품 리뷰 화면에서 사용자들이 무엇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해당 기능과 관련된 Feedback이 무엇이 있는지를 설문 솔루션을 통해 수집을 하였다. 관련된 근거는 아래와 같다.
- 사용자들은 "나에게 맞는 정보를 찾을 수 있다"는 점을 매우 중요한 가치로 생각하고 있다.
그런데 "내 정보 맞춤" 기능을 사용하는 비율은 매우 낮다.

- (이미 있는 기능임에도) 그러한 기능이 있으면 좋겠다는 응답이 꽤 있다.


2. 위 근거를 토대로 아래와 같은 가설이 생겼다
아래와 같은 사용자가 생각보다 많은 것 같다.

a) 보긴 봤는데 무엇인지 이해하지 못해서 안썼다.
b) 보긴 했는데, "중요한" 기능인지는 몰랐다.
c) 안보여서 지나쳤다.




그래서 해당 기능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레이블을 수정했고, 중요도를 높이는 측면에서 배치를 수정하였다.
그리고 최대한의 이해와 인지를 위해 "툴팁"을 함께 노출하였다. 일부 사용자들은 이미 잘 사용하고 있던 기능이었고, 굳이 이렇게까지 "덜 매끄럽게" 해야하냐고 할수도 있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잘 몰라서 사용하고 있지 않은 "다수"가 더 중요했다. 이미 알고있는 사용자에게 툴팁하나 노출하는 것이 뭐 그렇게 빅딜인가?
상대적으로 잘 몰라서 사용하지 않고 있거나 이탈한 사용자에게 훨씬 더 중요한 문제다.




결과적으로 해당 기능의 사용율이 5배이상 늘었다.
("툴팁"노출만을 변경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정확한 기여도는 확증할 수 없다. 그래도 다른 기능들보다 훨씬 더 높게 수치가 늘었다.)
그리고 지표가 유지 되고 있다. 상당수 몰랐던 많은 사용자들이 알게 되었고, 반복사용이 되고 있는 것이다.


근거와 가설이 비교적 명확한 상황에서, 중요한 기능이나 정보를 Context에 맞게 제공하고 싶다면, 툴팁은 UX를 고려한 "최선의 카드"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특히, 비교적 간단한 작업으로 의외로 큰 성과를 달성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매우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겠다.


사용자들은 게으르고, 이기적이고, 거만하다고 한다.
그정도로 우리가 기대하는 것보다 사용자는 관심이 없고, 잘모른다고 생각하라는 의미가 아닐까.



참고 자료들
Tooltips: Your Secret Weapon for Improving Feature Discovery
medium.com

5 reasons why tooltips are coming to mobile - Pointzi - User Onboarding for Web & Mobile Apps
pointzi.com

Getting Traction: How to Hook New Users – Startup Grind – Medium
medium.com


쫄래쫄래 작가님의 글 더 보러가기


최근 콘텐츠


더보기

기업 탐색하기 🔍

머크 코리아

여러분만의 특별한 재능으로 머크와 함께 마법을 펼쳐보세요! 커리어 여정을 계속해서 탐험하고, 발견하고, 도전할 준비가 되셨나요? 커리어에 대한 열정으로 가득한 여러분처럼, 머크도 거대한 포부로 가득하답니다! 머크의 전 세계에 있는 구성원들은 과학 기술의 혁신으로 헬스케어, 생명과학, 그리고 전자소재 부문에서 사람들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고 있습니다. 머크의 구성원들은 한마음이 되어 고객, 환자, 인류, 더 나아가 지구의 지속 가능함을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머크가 호기심 가득한 인재를 원하는 이유랍니다, 호기심은 모든 것을 상상할 수 있게 만드는 원동력이니까요. 머크는 1668년 독일의 약국에서부터 시작하였으며, 화학 사업까지 확대하면서 현재 제약, 생명과학, 전자소재 세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현재에는 연 매출 약 30조원 (2022년 기준)을 기록하는 세계적인 대기업이 되었으며, 약 6만 4천명의 직원들이 66개국에서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여 과학 기술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1989년에 설립되어 올해로 34주년을 맞이하게 된 머크 코리아는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에 위치한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이를 비롯해 13개의 연구소 및 공장에서 약 1,700명의 직원분들과 함께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바이오, 디스플레이, 그리고 반도체 강국인 우리나라에서 머크 코리아는 생명과학과 전자소재 비즈니스의 핵심 허브의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제조/화학/통신 

부킹닷컴 코리아

1996년 암스테르담에서 설립된 Booking.com은 소규모 스타트업으로 시작하여 전 세계 최대의 여행 e커머스 기업으로 성장하였습니다. Booking Holdings Inc. (NASDAQ: BKNG) 그룹사인 Booking.com은 전 세계 70개국 198개 오피스에 17,000여 명의 직원을 두고 있습니다. <br><br> Booking.com은 <b>‘온 세상 사람들이 세계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b>는 목표 아래 누구나 손쉽게 원하는 여행을 만들어갈 수 있도록 기술적인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습니다. 전 세계에서 가장 넓은 숙소 선택의 폭을 자랑하는 Booking.com을 통해 아파트, 휴가지 숙소, 비앤비부터 5성급 럭셔리 호텔, 트리하우스, 심지어는 이글루까지 다양한 숙소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Booking.com 웹사이트와 모바일 앱은 40개 이상의 언어로 사용 가능하며, 전 세계 70개 국가 및 지역에 위치한 여행지 143,171곳에서 29,068,070개의 숙박 옵션을 제공합니다. <br><br> Booking.com 플랫폼에서는 매일 1,550,000박 이상의 예약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Booking.com과 함께라면 출장, 휴가 등 여행 목적에 상관없이 원하는 숙소를 예약하실 수 있습니다. 별도로 부과되는 예약 수수료는 없으며, 최저가 맞춤 정책을 통해 최상의 요금을 제공해드립니다. Booking.com 고객 지원팀을 통해 24시간 연중무휴, 40개 이상의 언어로 도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서비스/교육/금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