Χ

추천 검색어

최근 검색어


 

TV나 유튜브에서 초록색 코끼리가 나오는 맥주 광고를 보신 적 있나요? 만원에 12캔(355ml 기준)이라는 엄청난 가격으로 어필하는 이 제품은, 하이트 진로에서 발매한 '필라이트'입니다. 자 그럼, 대놓고 질문 들어갑니다. 맛은 둘째 치고, 어떻게 이러한 가격이 나왔을까요? 하이트진로가 마진을 포기한 것일까요?


 


필라이트 광고

 

 

맥주가 아닌

발포주

 

필라이트는 하이트진로에서 2017년 4월에 출시한 맥주발포주입니다. 응? 맥주가 아니라 발포주라구요? 발포주는 뭘까.. 와인과 비슷한 것인가요?? 사실 발포주는 일본에서 판매되는 주류의 한 종류입니다. 일본에서는 맥주를 '원재료 중 맥아 함량이 67% 이상인 주류'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67% 미만은 발포주라고 부르지요.

 

 

하이볼, 호가든도 일본에서는 발포주

 

 

일본의 주세법에 따르면 맥주의 원재료는 물, 맥아, 쌀, 옥수수, 감자, 효모, 홉, 전분, 설탕, 캐러멜로 한정되어 있습니다. 때문에 여러 부재료를 첨가하는 벨지안 화이트, 트라피스트 에일 같은 유럽 맥주는 맥아 함량과 상관없이 발포주로 분류되기도 합니다. 밀맥주도 비슷한 이유로 발포주로 지정됩니다.

*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벨지안 화이트는 호가든

 

사실, 발포주는 일본의 주세법 때문에 생겨난 혼종입니다. 일본에서는 맥아햠랑에 따라 주세를 차등 측정합니다. 즉, 맥아 함량이 높을수록 주세도 더 많이 부과되죠. 이에 일본의 맥주회사들은 90년대 초부터 맥아 함량을 줄이고 부재료를 더 넣어서, 세금을 줄인 발포주를 출시합니다. 저렴한 가격과 다양한 맛 때문인지, 2000년대 초반에는 무려 30% 이상의 점유율을 기록할 정도로 인기를 얻습니다. (지금은 15% 정도라고) 

* 여자분들에게 인기가 많은 하이볼 역시 발포주에 속합니다.

 

 

 

출고가가 맥주의 58%

기타주류라서 세율은 30%

 

필라이트는 이러한 일본의 발포주 개념을 가져온 제품입니다. 다만, 우리나라 주류법에 발포주는 없기 때문에 기타 주류로 분류됩니다. 이것은 엄청난 메리트를 가지고 있죠. 한국에서 주세를 부과하는 기준은 출고가입니다. 하이트, 클라우드, 카스 같은 맥주는 출고가의 72%를 주세로 매깁니다. 그러나 필라이트는 기타 주류로 분류되어 30%의 세율만 적용받습니다. 즉, 맥아를 적게 넣어 출고가를 기존 하이트맥주의 58%로 낮춤 + 30%의 주세 = 만원에 12캔이라는 어마 무시한 가격이 탄생할 수 있던 것입니다.

 

 

 

 

알콜 넣은 탄산 보리차 같다.

지금까지 만들던 맥주와 뭐가 다르냐.

맥주도 맛없는데 발포주는 얼마나....

 

 

제품 출시초만 해도 위와 같은 부정적인 의견들이 많았지만, 대규모 마케팅 진행 이후, 현재 3,000만개 이상을 팔아치웁니다. 지금은 의외로 맛이 시원하다. 맥주 대신 마시기 괜찮다 등의 호의적인 평가가 많습니다. 물론 가장 큰 요인은 가성비겠지만요.

 

실제로도 손이 갑니다. 집에 들어갈 때 딱 맥주 1캔 먹고 싶어서 편의점을 갔는데, 수입 맥주는 4개에 만원이죠. 4개를 사야 되나.. 망설이던 찰나, 500ml 1캔에 1,600원이라는 가격표가 보입니다. 무슨 맛일지도 궁금하고 일단 싸니까 집어 듭니다. 집에 와서 먹어보니 생각보다 쓰지도 않고 괜찮습니다. 주말이 되어 이마트를 갔더니, 또 보입니다. 정말로 만원에 12캔입니다. 그렇게 제 지갑은 또 열립니다.


용진욱 작가님의 더 많은 글 '보러가기'



더보기

용진욱님의 시리즈


최근 콘텐츠


더보기

기업 탐색하기 🔍

크레비스파트너스

크레비스는 15년 이상의 역사와 전문성을 가진,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임팩트 벤처 그룹입니다. 사회 및 공공이 해결하지 못한 영역에서 혁신적인 기술로 임팩트를 전파하고자 기업들을 발굴, 투자, 육성하고 있습니다. 2004년 창업 초기, 많은 시행 착오를 경험하며 20대 초반의 우리는 "인생의 30년 여정"에 대한 생각을 하였습니다. 당시는 사회 전반적으로 2000년대 초반의 닷컴 버블이 꺼지며 창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확고하던 시기입니다. 그런 환경에서 지속 가능한, 그리고 사회를 변화시키는 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단지 재미와 의지만이 아닌, 철학과 미션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누군가는 후배들에게 취업과 진학 외에도 길이 있다는 것을 보여줘야 하지 않을까’ 라고 결심하며 과감히, 그리고 무모하게 창업과 사업이란 길을 선택했습니다. 우리가 계획한 30년 여정 중 15년이 지난 지금, 크레비스는 시장 실패 영역에서 직접 사업을 운영하며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또한 우리의 도전에 동참하는 용기 있는 후배들을 지지하고, 공동창업자로 육성하며, 임팩트 펀드 운영을 통해 임팩트 생태계를 확장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 크레비스파트너스 홈페이지: http://www.crevisse.com

미디어/디자인/방송/광고/예술 

부킹닷컴 코리아

1996년 암스테르담에서 설립된 Booking.com은 소규모 스타트업으로 시작하여 전 세계 최대의 여행 e커머스 기업으로 성장하였습니다. Booking Holdings Inc. (NASDAQ: BKNG) 그룹사인 Booking.com은 전 세계 70개국 198개 오피스에 17,000여 명의 직원을 두고 있습니다. <br><br> Booking.com은 <b>‘온 세상 사람들이 세계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b>는 목표 아래 누구나 손쉽게 원하는 여행을 만들어갈 수 있도록 기술적인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습니다. 전 세계에서 가장 넓은 숙소 선택의 폭을 자랑하는 Booking.com을 통해 아파트, 휴가지 숙소, 비앤비부터 5성급 럭셔리 호텔, 트리하우스, 심지어는 이글루까지 다양한 숙소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Booking.com 웹사이트와 모바일 앱은 40개 이상의 언어로 사용 가능하며, 전 세계 70개 국가 및 지역에 위치한 여행지 143,171곳에서 29,068,070개의 숙박 옵션을 제공합니다. <br><br> Booking.com 플랫폼에서는 매일 1,550,000박 이상의 예약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Booking.com과 함께라면 출장, 휴가 등 여행 목적에 상관없이 원하는 숙소를 예약하실 수 있습니다. 별도로 부과되는 예약 수수료는 없으며, 최저가 맞춤 정책을 통해 최상의 요금을 제공해드립니다. Booking.com 고객 지원팀을 통해 24시간 연중무휴, 40개 이상의 언어로 도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서비스/교육/금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