Χ

추천 검색어

최근 검색어

트위치는 기본적으로 라이브 스트리밍, 그것도 게임에 국한되는 서비스였는데, 최근에는 다양한 분야의 라이브 스트리밍을 펼치고 있다. 

 

그런 트위치가 유튜브를 앞서간다고??? 

 

물론 크리에이터 시장 전체에서는 유튜브를 아직 넘어서진 못하지만, 적어도 라이브 스트리밍 시장은 트위치가 꽉 잡고 있는 것 같다. 

 


출처 : https://mnews.joins.com/article/23616217#home)

 

트위치는 아마존에 인수된 회사이고, 유튜브는 구글에 인수된 회사. 결국 인터넷 영상 콘텐츠 플랫폼에서 아마존과 구글의 싸움이 될 것이라고 보는 것이다. 

 

트위치는 어떤 브랜드 인가? 트위치에 대해 조금 더 알아보자. 

 

 

1. 트위치의 시작



트위치는 예일대학교 동문인 에밋 시어와 한국계 미국인 저스틴 칸이 만든 실시간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이다. 

국내에서는 아프리카 TV 같은 것이라고 볼 수 있는데, 트위치는 e스포츠 스트리밍으로 특화된 서비스이다. 

 

(좌) 저스틴 칸   (우) 에밋 시어

 

2011년 6월 처음 서비스를 시작했고, 리그 오브 레전드 등의 다양한 게임들을 중계할 수 있게 하면서 2015년에는 월간 사용자 1억 명을 돌파하고, 스트리머는 300만 명. 1년 만에 100만 명이 늘어났고, 하루 평균 트위치 시청자 수는 2012년 10만여 명에서 2018년 101만여 명으로 약 10배 가 늘어났다. 

 

구글이 2014년도에 유튜브를 통한 녹화 방송 시장 점유에 이어 실시간 방송 시장을 장악하기 위해서 인수를 추진했다가 반독점 문제가 불거지며 협상이 결렬되고, 결국 아마존에게 9억 7,000만 달러의 금액으로 인수되었다. 

 

하는 게임에서 보는 게임의 시대를 이끌어가는 서비스이다. 

 

 

 

 

2. 트위치의 성장세



스트리밍 분석업체 스트림 엘리먼트에 따르면, 트위치는 지난 2분기 전 세계 스트리밍 방송 시청 시간의 72.2%(약 27억 시간)를 차지했다. 2위를 기록한 유튜브(19.5%·약 7억 3500만 시간)의 네 배다. 트위치의 사용자 평균 연령은 25세로, 이들은 영상 편집본은 유튜브에서 보지만, 생방송은 주로 트위치에서 시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글이 2005년 16억 5000만 달러(1조 9400억 원)에 인수한 유튜브는 현재 증권사 모건스탠리로부터 1600억 달러(188조 원)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트위치는 아마존이 인수한 지 5년밖에 안 됐지만, 몸값이 벌써 4배 뛴 37억 9000만 달러(4조 5000억 원)다. 유튜브와 트위치의 주 수입원은 광고와 유료회원 구독이다.  

 

 

 

 

 

 

3. 트위치의 장점과 단점

장점

- 실시간으로 대화하는 재미 (유튜브에 비해 오류가 적다)

- 동영상 제작자와 시청자가 함께 만들어가는 느낌

- 간편한 라이브 방송, e메일 인증 후 가입한 후 바로 방송 시작 가능

- 유튜브 대비 크레이이터 수익구조 좋음.

 

단점

- 썸네일이 없어서 영상을 찾아보거나, 내 영상을 어필하기가 어려움

- 아직 국내 사용자가 많지 않아서 유튜브보다 시청자가 적음 (최근 대도서관이 트위치로 생방송을 옮겼다가 다시 유튜브로 돌아옴)

 

 

 

 

 

 

4. 트위치 vs 유튜브 수익구조 비교

 



아무래도 트위치에서 생방을 하는 사람들은 이 부분도 중요할 것 같다. 

 

트위치

구독자 : 각 구독자는 한 달에 $ 5를 가져옵니다. Twitch는 50% 떼고 스트리머는 구독자 당 $ 2.50를 받습니다. (이 계약은 표준 계약일뿐이며 대규모 스 트리머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플랫폼의 대형 스트리머는 수천, 심지어 수만 명의 구독자를 가질 수 있습니다.)

기부금 : 기부금의 100 %가 스트리머에게 갑니다. 

비트 : 비트는 Twitch의 기본 제공 기부 시스템입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량이 적고 더 적은 금액으로 지불합니다. 트위치에서 29% 떼감.

광고 : YouTube와 동일하게 작동하며 스트림 시작 부분에 나타납니다. 

수익창출 조건 : 30일 이내에 500분, 50명의 팔로워

 

 

유튜브

슈퍼 챗 :  YouTube의 기본 제공 기부 시스템입니다. YouTube에서 30% 떼감

구독자 : 트위치의 구독자와는 다른 개념. Youtube에서 30~45% 떼감

광고 : 광고를 전체적으로 다 보아야 수익 생김. 구독하는 사람을 위해 일부러 광고를 다 봐주는 경우도 생김

수익창출 조건 : 수익 승인 신청 1년 이내 1,000명, 4,000시간

 

 

유튜브는 매출, 수익뿐 아니라 비디오를 통해 게재되는 광고 숫자, 이용자 숫자 등을 철저하게 비밀에 부치고 있지만, 업계에서는 한 해 매출을 160억~250억 달러 정도로 추정하고 있다. 구글 모기업 알파벳의 지난해 매출은 1368억 달러(161조 원)를 기록했다. 알파벳의 루스 포럿 최고 재정책임가(CFO)는 “유튜브는 전체 알파벳 매출에 ‘중요하고 강한’ 기여를 했다”라고 말했으나 더 이상의 구체적인 언급은 하지 않았다.     

 

 

 


 

 

트위치에 대해 조사해보니, 게임 관련 스트리밍 서비스만큼은 확실히 우세해 보인다. 그리고 그렇게 타깃을 세분화해서 한 분야에 특화시킨 후 더 넓게 발전시켜나가는 방법 또한 좋은 방법이다. 

 

게임 방송으로 선점함 스트리밍 시장에서 게임뿐 아니라 스포츠, 음악, 영화, 정치 등 채널을 늘리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019년 10월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와 텍사스 댈러스에서 열린 대선 유세 연설을 동영상 플랫폼 트위치(Twitch)를 통해 생중계했다. 트럼프가 트위치에 가입한 지 2주 만에 구독자는 9만 6000명으로 늘었다. 4년 전 시작한 트럼프의 유튜브 채널 구독자 20만 명을 금방 따라잡을 기세다. 

 

실시간 시청자 수가 압도적이기 때문에 다른 분야의 사람들도 점점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결국 아마존(트위치)과 구글(유튜브)의 영상 콘텐츠 시장의 싸움이 될 것으로 보이는데, 어떻게 될지 지켜보는 재미가 있을 듯. 

 

 

 

Joohwang Kim (김주황)
lllayer CEO & Founder
-
브랜드를 기획하고 디자인합니다. 
-
E-mail : zwang@lllayer.com
Instagram : www.instagram.com/zwang
Facebook : www.facebook.com/zwangkim
Naver blog : blog.naver.com/zwang
-
lllayer
www.lllayer.com
www.lllayer.com/bx

 

 

 

 

 

참고
https://mnews.joins.com/article/23616217#home

https://www.howtogeek.com/364588/whats-the-difference-between-streaming-on-youtube-and-twitch/

https://www.youtube.com/watch?v=3DlC-u0zPgQ








브랜드 만드는 남자 작가님 글 더 보러가기



최근 콘텐츠


더보기

기업 탐색하기 🔍

크레비스파트너스

크레비스는 15년 이상의 역사와 전문성을 가진,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임팩트 벤처 그룹입니다. 사회 및 공공이 해결하지 못한 영역에서 혁신적인 기술로 임팩트를 전파하고자 기업들을 발굴, 투자, 육성하고 있습니다. 2004년 창업 초기, 많은 시행 착오를 경험하며 20대 초반의 우리는 "인생의 30년 여정"에 대한 생각을 하였습니다. 당시는 사회 전반적으로 2000년대 초반의 닷컴 버블이 꺼지며 창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확고하던 시기입니다. 그런 환경에서 지속 가능한, 그리고 사회를 변화시키는 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단지 재미와 의지만이 아닌, 철학과 미션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누군가는 후배들에게 취업과 진학 외에도 길이 있다는 것을 보여줘야 하지 않을까’ 라고 결심하며 과감히, 그리고 무모하게 창업과 사업이란 길을 선택했습니다. 우리가 계획한 30년 여정 중 15년이 지난 지금, 크레비스는 시장 실패 영역에서 직접 사업을 운영하며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또한 우리의 도전에 동참하는 용기 있는 후배들을 지지하고, 공동창업자로 육성하며, 임팩트 펀드 운영을 통해 임팩트 생태계를 확장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 크레비스파트너스 홈페이지: http://www.crevisse.com

미디어/디자인/방송/광고/예술 

(주)트렌드메이커

Dinto 딘토 Dinto는 deeply into를 뜻하며 '깊이'에 대한 우리의 열망을 상징합니다. 깊이 없는 아름다움은 장식에 불과하다고 믿습니다. 우리는 매 순간 감응하며 나만의 철학과 아름다움을 쌓아가는 여성을 찬미하며 고전문학에서 영감을 받은 컬러로 여성의 삶을 다채로이 채색하고자 합니다. 전과는 다른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게 되는 그런 글처럼 딘토가 하나의 계기가 되기를, 안목을 넓히고 격을 높여줄 수 있기를 바랍니다. - 핀 더 푸드 our phillosophy 배부른 영양결핍과 고달픈 자기관리에 지쳐버린 현대인들에게 생기와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도록 당신의 삶을 가볍게 그리고 즐겁게 핀더푸드가 제안하는 건강한 다이어트&이너뷰티의 시작 our promise 더 간편한 더 맛있는 더 효과적인 경험을 위한 핀더푸드 내 몸을 위한 거니까, 자연주의 착한 성분으로 HACCP&GMP의 엄격한 품질관리로 다양하고 트렌디한 식이요법을 약속합니다. our vision 바쁜 일상 속, 더 이상의 수고를 보탤 필요는 없기에 우리가 당신의 예쁨과 멋짐, 건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제안합니다. 더 확실하고, 더 맛있고, 더 간편한 제품개발을 위해 끝없이 연구합니다. 고된 자기관리에 지친 당신을 위해, 핀더푸드.

판매/유통/무역/도매/소매/운수 

플랫팜

주식회사 플랫팜은 2017년 인포뱅크로부터 시드라운드 투자 유치와 R&D 자금 연계를 기점으로, SBA 서울혁신챌린지에서 최우수상, 베트남 글로벌 컨퍼런스 SURF 컴피티션 우승을 하였습니다. 그 이듬해인 2018년에 삼성벤처투자로부터 전략 투자를 유치하여 지속적인 플랫폼 개발을 거듭하였고, 2019년 삼성전자와 기술 제휴를 통해 당사 이모티콘 플랫폼인 `모히톡(mojitok)` 서비스를 갤럭시 스마트폰에 연동하여 연 3억 대의 기기에 탑재되어 출시되고 있습니다. 또한 자회사인 베트남 법인 Zookiz에서는 신한그룹 퓨처스랩의 프로그램 지원에 힘입어 베트남 최대 플랫폼 VNG zalo와의 파트너십 등 동남아시아 진출에도 박차를 가하는 중입니다. 2020년 상반기에는 구글 <Tenor> 검색서비스 콘텐츠 파트너십 체결, 국제 AI학회 <ACL> SocialNLP 챌린지 1위, 2020 Kocca 스타트업콘 최우수상을 수상한 바 있습니다. 2021년에는 Facebook 그룹의 Whatsapp 메신저와 콘텐츠 공급 계약을 맺는 한 편, 동남아시아 최대 사무용품 전문 업체 Thien Long과 캐릭터 라이선스 계약을 맺으며 글로벌 마켓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올해까지 누적 투자액 50억원을 달성하며 높은 기술력과 디자인 상품성의 융합을 통해 세계 무대로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IT/정보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