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몰입과 창의성
출근 전 다큐멘터리를 보며 나의 몰입과 창의성을 어떻게 높일 수 있을 지 생각해보려한다. EBS1 통찰 (몰입과 창의성)을 보며 느낀 점을 정리한다.
몰입의 3요소 명확한 목표, 빠른 피드백, 적절한 난이도 (칙센트미하인교수) 게임에 몰입하게 되는 것은 위의 세가지 요소가 적절하게 구성되기 때문이다. 피드백이 느린 공부 몰입도를 높이기 어렵다. 결과의 원인을 파악하는 과정이 몰입력을 상승시킨다. 피드백이 느린 분야에도 몰입 할 수 있는 것이 관건인데 어떻게 해야 자극을 높일 수 있을까? 스스로 피드백을 높이는 것이 몰입을 높인다.
- 충분한 수면 (엔트로피를 낮추는 신경전달 물질은 우리가 잠을 잘 때 만들어진다. 우리가 낮에 경험을 하고 잠을 자며 뇌에 학습이 일어난다.)뇌는 수면 중에도 작동한다. 걱정없이 공부한다면 두통없이 계속해서 공부 할 수 있다.
- 규칙적인 운동 중 유산소 운동이 효과적이다.
- 몰입에 방해가 되는 것은 걱정의 영향이 크다.
나는 몰입해서 일을 짧게 하고 나머지 시간은 철저히 일에 대해 멀리 떨어지거나 영감을 받기 위해 딴짓을 하기 위해 노력했다. 나에게 10시간이 주어진다면 3시간 정도는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일, 예를 들어 프로그램으로 그래픽 파일을 만들어내는 일을 하고 나머지 7시간은 커피를 마시며 잡지를 보거나 서점에가서 책을 읽거나 지나가는 사람을 계속 관찰하는 일, 운동 등을 한다.
사실 이 다큐멘터리를 보면서 나의 업무 난이도가 적절하거나 명확한 목표가 있었기 때문에 몰입이 잘 되었다고 생각되지 않는다. 나는 몰입을 하기 위해 명확한 목표와 적절한 난이도의 업무과제를 스스로 노력해왔다. 몰입하기 위해 보내는 시간을 남들이 보기에는 노는 것 처럼 보일 수 있다. 왜냐하면 몰입하기 위해서 나는 철저히 일이 아닌 것을 하기 위해 노력하기 때문이다. 나에게는 일을 잊는 시간 동안 영감이 떠오르기 때문에 쉬는 동안 얼마나 일을 잘 잊고 있었느냐가 관건이다.
잘 논만큼 잘 몰입 할 수 있다!


@All copyrights reserved by POTATOHANDS
Blog : medium.com/potatohandsblog
Work : www.potatohands.com for more design & portfolio.
Instagram&Facebook : potatohands
potatohandskim@gmail.com
김지숙 님의 더 많은 글 보러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