Χ

추천 검색어

최근 검색어

 

역시 삶은 녹록지 않다

 

8개월여간의 이직&재취업 준비 끝에 '최종 합격​'을 했다. 쉬는 게 좋았지만 한편으로는 다 포기해버리고만 싶었다. 끝이 없는 탈락의 고배 끝에, 막판에는 정말 '구직단념자'가 될 뻔했다. 그렇게 바라던 해외 취업 대신 한국에 비상 착륙한 후 첫 출근을 했다. 새로운 회사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전혀 감을 잡지 못한 채로, 첫 출근 날 전사 재택 권고를 받았다.

 

하필 8월 15일 후에 출근을 하게 되었다. 어쩌면 다행일 수 있다. 나보다 늦게 합격한 다른 부서 분은 출근이 미뤄졌으니. 출근이 미뤄지고 혹시 채용이 취소될까 봐 초조하게 기다리는 것보다는 아무것도 모른 채 그저 회사에 적응하기 위해 집에서 고군분투하는 편이 낫긴 낫다.

 

전에 다녔던 회사도, 지금의 회사도 수습 기간이 있다. 1년 경력이던, 10년 경력이던 누구에게나 적용되는 기간이다. 지인들과 동료들은 '수습기간' 너라면 당연히 통과할 것이라며 응원해주고, 나도 그렇게 마음이 불안하지는 않다. 작년부터 있었던 미친 일들을 겪어내고 버텨냈더니, 열심히 하더라도 '수습 통과 못하면 못하는 거다'라고 편하게 생각하려고 노력 중이다.

 

첫 출근, 그래서 어땠는데?

계약서 작성 등에 필요한 서류들을 준비해서 출근을 했다. 출근 전날에는 브런치에 있는 첫 출근 글도 읽어보고 다른 분들의 Vlog도 보면서 첫 날을 상상해봤다. 인턴부터 세어보면 첫 출근만 한 다섯 번도 넘게 했을텐데, 긴장이 되는 건 늘 똑같다. 인사팀에서 맞이해주신 분과 계약서를 작성하고, 내 자리로 안내를 받았다. 책상 위에는 몇 가지 간단한 웰컴 키트가 있었다.

 

출처: https://linecorp.com/en/pr/news/global/2019/36

 

웰컴 키트는 회사가 입사자에게 제공하는 사원증부터 머그컵, 필기구, 스티커 등의 다양한 물품을 말한다. 디자인 어워드에서 상을 받은 라인의 웰컴 키트와는 비교가 안되지만, 나나리님의 입사를 축하합니다라는 글귀가 적힌 종이와 함께 맥북, 노트, 간단한 필기구 그리고 머그컵 등이 자리에 놓여져 있었다. 공짜로 받게 되는 건 언제나 환영이다.

 

첫날이라 이메일 주소를 만들고 몇 가지 설정을 했다. 그리고 신규 입사자를 위한 오리엔테이션 시간 약속을 잡았다.  회사에서 사용하는 협업 시스템에 대한 문서와 업무와 관련된 문서를 몇 가지 전달받아 읽고, 회사 구석구석 구경을 했더니 하루가 끝났다. 퇴근할 때쯤 전사 재택 권고를 받아 당황스럽기 그지없었으나, 개인적으로 며칠 더 출근해서 인수인계를 받기로 결정했다. 하...겨우 합격한 회사에 잘 적응할 수 있을...까?

 

코로나 이후로 예상대로 굴러가는 일이 하나도 없다!!!

 

 

 
나나리 작가님의 글 더 보러가기

 

 



최근 콘텐츠


더보기

기업 탐색하기 🔍

크레비스파트너스

크레비스는 15년 이상의 역사와 전문성을 가진,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임팩트 벤처 그룹입니다. 사회 및 공공이 해결하지 못한 영역에서 혁신적인 기술로 임팩트를 전파하고자 기업들을 발굴, 투자, 육성하고 있습니다. 2004년 창업 초기, 많은 시행 착오를 경험하며 20대 초반의 우리는 "인생의 30년 여정"에 대한 생각을 하였습니다. 당시는 사회 전반적으로 2000년대 초반의 닷컴 버블이 꺼지며 창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확고하던 시기입니다. 그런 환경에서 지속 가능한, 그리고 사회를 변화시키는 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단지 재미와 의지만이 아닌, 철학과 미션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누군가는 후배들에게 취업과 진학 외에도 길이 있다는 것을 보여줘야 하지 않을까’ 라고 결심하며 과감히, 그리고 무모하게 창업과 사업이란 길을 선택했습니다. 우리가 계획한 30년 여정 중 15년이 지난 지금, 크레비스는 시장 실패 영역에서 직접 사업을 운영하며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또한 우리의 도전에 동참하는 용기 있는 후배들을 지지하고, 공동창업자로 육성하며, 임팩트 펀드 운영을 통해 임팩트 생태계를 확장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 크레비스파트너스 홈페이지: http://www.crevisse.com

미디어/디자인/방송/광고/예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