Χ

추천 검색어

최근 검색어

 

가끔씩 구매업무에 사규의 중요성을 묻는 사람들이 있다. 구매담당자가 물건만 잘 사주면 되지, 굳이 사규까지 알 필요가 있냐는 문제 제기다. 하지만 이는 올바른 생각이 아니다. 담당자가 구매 규정을 숙지하지 못하고 업무를 하게 되면 기준이 무너지게 된다. 어떤 조직이든  업무를 진행하면서 지켜야 할 규정과 절차가 반드시 있다.     

더구나 구매는 지원 업무다. 제조업의 경우, 생산에서 필요한 자재와 R&D에서 요청하는 자재를 공급(Supply)하는 일을 담당한다. 따라서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면 회사 내부에서 이상이 발생한다. 흡사 인체에 혈액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으면, 동맥경화가 오는 것과 같다. 이런 불행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직 구성원이 준수해야 할 구매 기준과 구입 절차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구매담당자는 이러한 회사의 구매 규정을 어느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어야 한다. 이른바 흔히 말하는 구매담당자의 역량강화 역시 회사 규정의 숙지로부터 출발해야 한다.    

 

기업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담당자의 구매 역량 강화를 위해 노력한다. 이러한 노력은 회사 내에서 이루어지는 자체 교육과 외부의 전문기관을 통한 사외 교육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사외교육은 전문기관의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자세히 알 수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주로 사내 교육에 관한 애기를 다루고자 한다.  

    

 

신입의 경우, 구매업무 초기에 규정집을 옆에 두고 업무에 참고하면 좋다. 왜냐하면 그 모든 조항을 한꺼번에 기억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구매담당자가 업무를 규정대로 처리하지 않으면, 절차서의 조항을 문제 삼는 까칠한 구매 요청자(들)도 나타난다. ‘아니, 정상적으로 결재가 끝난, 원료 구매요청서를 구매팀 임의대로 반려하면 어떡합니까?’ 이때 제대로 답변하지 못하고 버벅거리는 구매담당자가 있다면, 업무 전문성에 심각한 타격을 입을 수도 있다. ‘글쎄요. 전임자들한테 확인해봤는데, 거 뭐라더라? 규정 원단위가 초과되면 별도의 사유서가 있어야 하는데, 그게 빠져 있는 것 같아서..’ 이런 식의 대응은 정말 곤란하다. 이때 ‘그게 규정에 나와 있는 거예요? 아무리 찾아봐도 그런 내용은 본 적이 없는데, 어디 나와 있어요?’ 구매 요청자의 불만 섞인 질문이 되돌아오는 것은 어쩌면 당연하다. ‘그게 저도 확실한 규정을 아는 것은 아니라서, 찾아보고 연락을 드리도록..’ 이런 식의 업무처리는 상대에게 전혀 신뢰감을 주지 못한다. 담당자가 제대로 알지 못해 정확한 답변을 주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행여나 이런 불미스러운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구매업무 종사자들은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결국 구매규정을 공부해야 한다는 애기다. 세상에 공짜는 없다. 그리고 아는 것이 힘이다.




카멜 작가님의 더 많은 글 '보러가기'



더보기

카멜님의 시리즈


최근 콘텐츠


더보기

기업 탐색하기 🔍

머크 코리아

여러분만의 특별한 재능으로 머크와 함께 마법을 펼쳐보세요! 커리어 여정을 계속해서 탐험하고, 발견하고, 도전할 준비가 되셨나요? 커리어에 대한 열정으로 가득한 여러분처럼, 머크도 거대한 포부로 가득하답니다! 머크의 전 세계에 있는 구성원들은 과학 기술의 혁신으로 헬스케어, 생명과학, 그리고 전자소재 부문에서 사람들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고 있습니다. 머크의 구성원들은 한마음이 되어 고객, 환자, 인류, 더 나아가 지구의 지속 가능함을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머크가 호기심 가득한 인재를 원하는 이유랍니다, 호기심은 모든 것을 상상할 수 있게 만드는 원동력이니까요. 머크는 1668년 독일의 약국에서부터 시작하였으며, 화학 사업까지 확대하면서 현재 제약, 생명과학, 전자소재 세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현재에는 연 매출 약 30조원 (2022년 기준)을 기록하는 세계적인 대기업이 되었으며, 약 6만 4천명의 직원들이 66개국에서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여 과학 기술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1989년에 설립되어 올해로 34주년을 맞이하게 된 머크 코리아는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에 위치한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이를 비롯해 13개의 연구소 및 공장에서 약 1,700명의 직원분들과 함께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바이오, 디스플레이, 그리고 반도체 강국인 우리나라에서 머크 코리아는 생명과학과 전자소재 비즈니스의 핵심 허브의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제조/화학/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