Χ

추천 검색어

최근 검색어


Question

 

팀장님이 자꾸 불가능한 분석을 하라고 하세요. 경쟁사의 올해 예상 매출이 얼마가 될지 제가 어떻게 알아요? 그래서 제가 못하겠다고 하면 "그래도 하는 데까지 최선을 다해"라고 하세요. 저는 정말 못하겠는데 말이죠. 이런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하죠?

 

Answer

 

음... 답답하신 마음은 이해가 가지만 그래도 필요한 일은 하는 게 맞는 것 같습니다. 물론 개중에는 불가능한 분석을 시킨 뒤 예측이 조금이라도 틀리면 고래고래 소리 지르는 무지막지한 상사도 있습니다만...

 

예전에 모 임원께서는 제게 A 방송사의 평균 시청률이 1% 오를 때마다 광고 매출이 얼마나 증가하는지 분석하라고 하셨습니다. 광고 매출이 시청률에만 영향받는 게 아니기 때문에 정확한 분석은 애당초 불가능한 일이었죠. 그래도 상사가 시키신 일인지라 저는 최선을 다해 분석해서 보고 드렸습니다. 그리고 그 예측은 당연히 빗나갔죠. 그러자 그분은 제가 허위 보고를 했다며 깨셨습니다.

 

팀장님이 위와 같은 분만 아니라면 최선을 다해 분석해 드리는 것이 팀원의 도리겠죠.

 

일을 하다 보면 '정확한 답을 찾을 수는 없지만 해야 할 필요가 있는 일'은 있습니다. 질문자께서 말씀하신 경쟁사의 올해 예상 매출이 그러한 경우에 속할 수 있겠죠. 저도 가끔 이러한 업무를 팀원들한테 지시할 때가 있는데 대부분의 경우 팀원들은 이런 반응을 보입니다.

 

"그건 좀 곤란합니다. 정확한 분석을 하는 게 불가능해요."

 

그러면 저는 이렇게 대답하죠.

 

- 정확한 분석을 할 수 없다는 것은 나도 안다.

- 지금 당신에게 정확한 분석을 기대하는 게 아니다.

- 정확한 분석이 아니더라도 아무것도 없는 것보다는 낫다.

- 불확실한 상황에서 결정을 하고 책임지는 것은 경영자의 몫이다.

- 경영자 판단에 도움을 줄 수 있을 만큼 분석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완벽을 추구하지 말라
판단에 도움이 될 정도면 충분하다

 

'완벽하게 못하면 안 하느니만 못하다'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부족하더라도 하는 게 안 하는 것보다는 백만 배 낫습니다. 아예 안 하는 것은 최악입니다. 불확실성을 100% 없애지는 못하더라도 불확실성을 지금보다 줄이는 것만으로도 효과는 충분히 있기 때문입니다.

 

불확실성을 100% 없애지는 못하더라도
지금보다 줄이는 것만으로도 효과는 있다

 

그냥 소개팅이랑 똑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소개팅 주선자에게 상대방 키가 몇이냐고 물어봤는데 "글쎄, 정확히는 모르겠는데"라고 하면 좀 답답하겠죠. 그래서 "정확할 필요 없어. 대충 가르쳐줘" 했는데도 "글쎄, 그건 내가 정확하게 알 수 없어서 답해 줄 수 없어"라고 하면 미치고 팔딱 뛰겠죠.

 

물론 가끔씩은 완벽한 분석을 요구하는 경영자들도 있는데 이런 분은 자신의 책임을 팀원들에게 전가시키는 분입니다. 불확실한 정보 하에서 최선의 결정을 하고 그 결과에 대해서 책임을 지는 것은 응당 경영자의 몫이기 때문이죠.

 

불확실한 정보 하에서 최선의 결정을 하고 
그 결과에 대해서 책임을 지는 것은 경영자의 몫

 

경영자들은 그러라고 월급 많이 받는 것 아닌가요?

 

아니면 월급으로 팀원들 밥 사주던가!

 

'완벽을 추구하다보면 일을 빨리 못한다'는 뜻인가?

 

 

by 찰리브라운 (charliebrownkorea@gmail.com)

 

Key Takeaways

 

1. 정확한 분석이 아니더라도 아무것도 없는 것보다는 낫다.

2. 불확실한 상황에서 결정을 하고 책임지는 것은 경영자의 몫이다.

3. 경영자 판단에 도움을 줄 수 있을 만큼 분석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부족한 글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공감하시면 다른 분들도 공감하실 수 있도록 공유 부탁드립니다.

 

 

찰리브라운 작가님의 더 많은 글 '보러가기'



더보기

찰리브라운님의 시리즈


최근 콘텐츠


더보기

기업 탐색하기 🔍

머크 코리아

여러분만의 특별한 재능으로 머크와 함께 마법을 펼쳐보세요! 커리어 여정을 계속해서 탐험하고, 발견하고, 도전할 준비가 되셨나요? 커리어에 대한 열정으로 가득한 여러분처럼, 머크도 거대한 포부로 가득하답니다! 머크의 전 세계에 있는 구성원들은 과학 기술의 혁신으로 헬스케어, 생명과학, 그리고 전자소재 부문에서 사람들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고 있습니다. 머크의 구성원들은 한마음이 되어 고객, 환자, 인류, 더 나아가 지구의 지속 가능함을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머크가 호기심 가득한 인재를 원하는 이유랍니다, 호기심은 모든 것을 상상할 수 있게 만드는 원동력이니까요. 머크는 1668년 독일의 약국에서부터 시작하였으며, 화학 사업까지 확대하면서 현재 제약, 생명과학, 전자소재 세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현재에는 연 매출 약 30조원 (2022년 기준)을 기록하는 세계적인 대기업이 되었으며, 약 6만 4천명의 직원들이 66개국에서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여 과학 기술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1989년에 설립되어 올해로 34주년을 맞이하게 된 머크 코리아는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에 위치한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이를 비롯해 13개의 연구소 및 공장에서 약 1,700명의 직원분들과 함께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바이오, 디스플레이, 그리고 반도체 강국인 우리나라에서 머크 코리아는 생명과학과 전자소재 비즈니스의 핵심 허브의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제조/화학/통신 

아디다스 코리아

[HERE TO CREATE] We believe that through sport, we have the power to change lives and we are calling all creators every day. Do you want to change the rules with your imagination? Do you want to hack the future? Join us! [아디다스 소개] 아디다스는 글로벌 스포츠용품 산업의 선두주자로 주력 브랜드에는 아디다스와 리복이 있습니다. 독일 헤르초게나우라흐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6만명 이상의 직원과 함께 2016년에 190억 유로 이상의 매출을 달성했습니다. [브랜드 아디다스 소개] 그 어떤 브랜드도 아디다스만큼 스포츠와 특별한 관계를 맺어오지는 못했습니다. 세계 최고의 스포츠 브랜드가 되는 것은 아디다스의 사명이며, 아디다스가 하는 모든 것은 스포츠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세계 최고의 선수, 팀, 이벤트 뿐만 아니라 가장 혁신적인 제품에는 언제나 아디다스 브랜드 로고인 “뱃지 오브 스포츠”가 함께 할 것입니다. [브랜드 리복 소개] 글로벌 피트니스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리복은 신발, 의류, 각종 장비를 통해 현대인들에게 새로운 피트니스 라이프스타일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피트니스 용품 업계의 선구자로서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한 새로운 기술력을 피트니스 제품에 적용해 소비자들의 잠재력을 이끌어내고 있습니다. 크로스핏과 관련된 제품들을 독점 공급하고 있으며, UFC와 레스밀, 리복 크로스핏 게임즈와 파트너십을 맺고 제품을 공급하는 등 다방면으로 활발한 피트니스 문화 활동을 선도해 나가고 있습니다.

제조/화학/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