Χ

추천 검색어

최근 검색어

 

#때론 영어가 편하기도 하고, 뒷통수를 치기도 한다.

외국계회사에서 근무를 한다고 항상 영어만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영업부 직원들은 굳이 영어를 사용할 일이 거의 없으며, 전 직원이 모이는 자리에서 사장님께서 발표를 하실 경우에는 거의 대부분 통역이 대동된다. 사무실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의 경우 문서작업이나 다른 나라와 협업을 하는 경우 당연히 영어를 써야 하겠지만, 내부에서 우리나라 직원들끼리 미팅을 할 때는 굳이 영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한번은 여러 부서가 함께 진행하는 프로젝트가 있었고, 사장님께 중간 발표를 하는 날이었다. 사장님은 영국분 이셨기에 당연히 영어로 발표를 해야 하는 자리였고, 참석자들 모두 영어로 된 자료들을 준비해 왔다. 그런데 사장님께서 미팅 시작 시간이 되었는데도 도착을 안 하셨고, 확인을 해보니 조금 늦을 테니 먼저 시작을 하고 있으라고 전하셨다. 참석자들 모두 매일 일과처럼 영어로 발표를 해 왔던 분들이라 딱히 영어 발표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을 거라 생각하지 않았는데, 사장님이 안 계실 때 발표하면 영어로 하지 않아도 되니 서로 먼저 발표를 하겠다고 나서는 걸 보니 알게 모르게 영어에 대한 부담을 완전히 떨쳐낼 수는 없었던 듯 하다.

 

에피소드 1: 때로는 영어가 더 편하다.

 

이렇게 하루하루 영어를 일상적으로 사용하면서도 영어에 대한 부담이 항상 존재해 왔지만, 그러는 와중에도 영어가 때로는 더 편할 때도 있었다. 그건 바로 불편한 이야기를 꺼내야 할 때이다. 예를 들어 누군가에게 부정적인 피드백을 주어야 할 때, 영어로 표현을 하게 되면 훨씬 더 간결하고 정확하게 전달을 할 수가 있다. 한국어의 경우 너무나 많은 형용사와 부사 등을 장황하게 활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의도치 않은 오해를 불러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또, 한국어의 복잡하고 다양한 표현법 보다는 아무래도 영어에 대한 표현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부분이 있기 때문에 돌려서 말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이야기 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셰릴 샌드버그(Sheryl Sandberg)의 책인 린인(LeanIn)에서 보면 마크 주커버그(Mark Zuckerberg)가 중국어를 배우기 위해 페이스북(Facebook)에 근무하는 중국인 직원과 함께 시간을 보내는 내용이 나온다. 그러던 중 한 중국인 직원이 마크에게 업무 중의 불만을 중국어로 토로를 하는데, 마크의 중국어 실력이 썩 좋지 않다 보니 그 직원이 하는 말을 다 알아듣지 못하였다. 중국인 직원이 몇 번이나 설명을 했지만, 마크가 알아듣지 못하자,

“내 매니져가 정말 나쁜 사람이라고요”

라고 소리를 질렀더니 그제서야 마크가 알아들었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한국어로 어떤 것을 전달하려고 할 때는 너무 많은 과정을 거쳐야 진정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들을 수 있다. 그런데, 이게 심지어 상대방이 듣기 좋은 소리가 아니라면 중간중간 반박하는 과정들이 생길 것이고, 이러한 과정에서 감정의 충돌이 발생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렇기때문에 영어의 간결한 표현이 오히려 불필요한 감정적 요소를 배제하고 핵심만을 전달하는데 더 유리할 수도 있다.

 

에피소드 2 : 뉘앙스를 알면 의도를 알 수 있다.

한번은 리더쉽팀 앞에서 마케팅 전략을 발표하는 자리였다. 나는 시장에서 지금까지는 좋은 성적을 내고 있지만, 앞으로는 급격한 환경변화와 심화된 경쟁으로 인해 어려움이 예상된다는 식으로 말하면서, “But” 이라는 접속사를 사용했다. 이를 테면 “It has been good so far, but….” 이런 식으로 말이다. 그러자, 사장님이 그런 식으로 “But”을 쓰면 안 된다고 지적을 해 주셨다. “But”은 앞에 한 말을 부정하는 의미를 담고 있기 때문에 비즈니스 상황에서 “But”을 쓰게 되면, 앞에서 잘했다고 말한 부분들이 다 없어지는 거라고 하시면서 주의하고 대신에 “However” 와 같은 접속사를 쓰는 것이 좋다고 하셨다. 그러면서 “But”을 사용하는 적절한 예를 들어 주셨는데, “I love you, but, I have to leave you” 와 같이 쓰는 것이라고 말이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사장님께서 정말 “But”을 어떻게 사용하는 것인지 실제로 보여주신 적이 있다. 당시 회사는 구조조정안을 발표를 했고, 노조에서는 이에 반발을 하며, 사장님께 그 책임을 묻고자 하였다. 그러면서 2년 전에 있었던 조직개편이 잘못 됐음을 인정하고 사과하라는 것이었다. 만약 내가 노조위원장이었다면 단지 사과를 받는 것이 아니라 사측에서 제시한 구조조정안에 대해 노측의 협상 조건을 조금이라도 유리하게 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 요구를 했겠지만, 당시 노조에서는 사장님의 사과를 최우선조건으로 전제를 하였다. 이에 사장님은 정말 쿨하게 “I am sorry” 라고 말씀을 하셨다. 그리고 그 뒤에 한마디 덧붙이셨다. “But, I still believe that decision was right at that time”.






선배의 노하우님 더 많은 글 보러가기



최근 콘텐츠


더보기

기업 탐색하기 🔍

머크 코리아

여러분만의 특별한 재능으로 머크와 함께 마법을 펼쳐보세요! 커리어 여정을 계속해서 탐험하고, 발견하고, 도전할 준비가 되셨나요? 커리어에 대한 열정으로 가득한 여러분처럼, 머크도 거대한 포부로 가득하답니다! 머크의 전 세계에 있는 구성원들은 과학 기술의 혁신으로 헬스케어, 생명과학, 그리고 전자소재 부문에서 사람들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고 있습니다. 머크의 구성원들은 한마음이 되어 고객, 환자, 인류, 더 나아가 지구의 지속 가능함을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머크가 호기심 가득한 인재를 원하는 이유랍니다, 호기심은 모든 것을 상상할 수 있게 만드는 원동력이니까요. 머크는 1668년 독일의 약국에서부터 시작하였으며, 화학 사업까지 확대하면서 현재 제약, 생명과학, 전자소재 세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현재에는 연 매출 약 30조원 (2022년 기준)을 기록하는 세계적인 대기업이 되었으며, 약 6만 4천명의 직원들이 66개국에서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여 과학 기술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1989년에 설립되어 올해로 34주년을 맞이하게 된 머크 코리아는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에 위치한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이를 비롯해 13개의 연구소 및 공장에서 약 1,700명의 직원분들과 함께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바이오, 디스플레이, 그리고 반도체 강국인 우리나라에서 머크 코리아는 생명과학과 전자소재 비즈니스의 핵심 허브의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제조/화학/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