Χ

추천 검색어

최근 검색어



사람이 무엇을 희구해야만 하는가를 안다는 것은 절대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사람은 한 번밖에 살지 못하고 전생과 현생을 비교할 수도 없으며 현생과 비교하여 후생을 바로잡을 수도 없기 때문이다. 도무지 비교할 길이 없으니 어느 쪽의 결정이 좋을지 확인할 길도 없다. 모든 것이 일순간, 난생처음으로, 준비도 없이 닥친 것이다. 마치 한 번도 리허설을 하지 않고 무대에 오른 배우처럼.

-밀란 쿤데라,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中-



대학을 졸업하고 평생을 간절히 원해온 직업을 결정하는 시험에서 연거푸 낙방하고, 어렵게 취업으로 눈을 돌렸으나 그마저도 매일 불합격 통보를 받으며 살았던 적이 있다. 그때의 나는 영혼도, 생각도 없었다. '직업 자체를 꿈으로 삼았기 때문에 실패했을 때 타격이 큰 것이다.'라는 원론적인 비판을 할지도 모르겠다. 그런 비판에 일견 수긍이 가지만, 그래도 나는 그런 말을 하는 사람들이 참 못됐다는 생각을 한다. 살고자 하는 삶이 꿈이 될 수 있는 것처럼, 직업이 꿈이 될 수도 있다. 살고자 하는 삶을 살지 못해 슬픈 것처럼, 얻고자 하는 직업을 얻지 못했을 때도 슬픈 건 마찬가지이다.


밀란 쿤데라의 말처럼, 우리는 아무런 준비 없이 무대 위에 던져진 아마추어 배우와 같다. 그래서 어떤 삶의 태도가 옳고, 어떤 방식이 적합하며, 어떻게 살아야 완벽한 삶을 살 수 있는지 쉽게 판별할 수 없다. 더 비극적인 것은, 우리가 마주한 무대가 모두 제각각일 수도 있다는 점이다. 화려한 스포트라이트가 있는 무대 위에 설 수도 있고, 처음부터 끝까지 물세례만 받는 무대 위에 설 수도 있다. 그래서 100명의 사람이 있으면 100가지 삶이 있는 것이다.


준비 없이 뛰어든 무대에서 실수가 있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무대와 진짜 삶이 다른 점은 재상영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진짜 삶에서는 재상영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실수를 해도, 실패를 해도 어쩔 수 없이 남은 삶을 계속해서 이끌어나가야만 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남의 말에 지나치게 휩쓸리다 보면, 재상영이 불가능한 자기의 삶을 남의 이야기로 가득 채우게 된다.   


처음 살아보는 삶이니 실수할 수도 있고, 실패할 수도 있다. 모두 다른 환경에서 시작하기 때문에 가고자 하는 종착역이 모두 다를 수도 있다. 문제는 우리 모두 처음 살아보는 삶이며, 각기 다른 환경에 내던져졌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사람들이 같은 방식으로, 같은 종착역을 향해 달린다는 것이다. 
같은 속도로 달리지 못하고 중도 탈락하거나 멈춰 쉬는 사람들에게는 금세 독촉을 하기 시작한다. 이탈자의 경우 더 심각하다. 정해진 방식대로 달리지 않고, 정해진 종착역이 아닌 곳을 향하는 이탈자에게는 저주에 가까운 비난을 퍼붓는다. 이탈자가 실패했을 때는 가혹하기 그지없는 시선을 던진다. 과장이 심하다고 볼 수도 있겠다. 그러나 이런 상황은 가해자의 심정이 아니라 피해자의 심정으로 재구성하는 게 맞다고 본다. 유독 우리 사회는 이탈자들에 대한 시선이 곱지 않으니까. 이런 곱지 않은 시선이 무서워서 우리는 재상영이 불가능한 우리의 삶을 남의 이야기로 가득 채우게 되는 것이다. 


우린 모두 준비 없이 무대로 뛰어든 아마추어 배우다.
그런 아마추어 배우가 관객에게 원하는 것은 무대 위로 난입해 연기 지도를 해주는 것이 아닌, 그저 공연이 끝날  때까지 묵묵히 자리를 지키고 앉아있어 주는 것, 그게 전부이지 않을까.



더보기

Jane Gray님의 시리즈


최근 콘텐츠


더보기

기업 탐색하기 🔍

머크 코리아

여러분만의 특별한 재능으로 머크와 함께 마법을 펼쳐보세요! 커리어 여정을 계속해서 탐험하고, 발견하고, 도전할 준비가 되셨나요? 커리어에 대한 열정으로 가득한 여러분처럼, 머크도 거대한 포부로 가득하답니다! 머크의 전 세계에 있는 구성원들은 과학 기술의 혁신으로 헬스케어, 생명과학, 그리고 전자소재 부문에서 사람들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고 있습니다. 머크의 구성원들은 한마음이 되어 고객, 환자, 인류, 더 나아가 지구의 지속 가능함을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머크가 호기심 가득한 인재를 원하는 이유랍니다, 호기심은 모든 것을 상상할 수 있게 만드는 원동력이니까요. 머크는 1668년 독일의 약국에서부터 시작하였으며, 화학 사업까지 확대하면서 현재 제약, 생명과학, 전자소재 세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현재에는 연 매출 약 30조원 (2022년 기준)을 기록하는 세계적인 대기업이 되었으며, 약 6만 4천명의 직원들이 66개국에서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여 과학 기술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1989년에 설립되어 올해로 34주년을 맞이하게 된 머크 코리아는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에 위치한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이를 비롯해 13개의 연구소 및 공장에서 약 1,700명의 직원분들과 함께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바이오, 디스플레이, 그리고 반도체 강국인 우리나라에서 머크 코리아는 생명과학과 전자소재 비즈니스의 핵심 허브의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제조/화학/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