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노동'은 오랫동안 입에 올려서는 안되는 불순한 단어로 여겨졌다. 노동운동 역시 민주화운동, 학생운동보다 훨씬 급진적이고 과격한 방식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현대사회에 들어, '노동'이라는 단어에 들어있는 여러 정치적, 역사적 함의와 별개로 이 '노동'을 통해 자기 실현을 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청년들이 열정페이에 분노하고, 자기 노동의 가치에 대해 정당하게 보상해주는 기업들을 찾아가려고 많은 시간을 들이는 현상, 그리고 입사 후에도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찾고자 끊임없이 자기계발을 하는 현상 등을 통해 개인이 '노동'에 부여하는 가치가 점점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더불어 로봇이 인간의 일자리를 위협하고 인간의 노동을 근본적으로 대체하기 시작하면서 전세계적으로 인간의 '노동'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4차산업혁명 시기에 노동을 둘러싼 프레임은 과거처럼 기업가 대 노동자가 아니라 로봇 대 인간의 존엄성 간의 구도다. 여기서 '노동'이란 불순한 색깔론을 뒤집어쓴 정치적 용어가 아니라 AI세상에서 인간만의 고유한 존엄성과 생존권을 의미하는 단어에 가깝다.
로봇이 빠른 속도로 인간의 노동을 대체하는 세상에서, 인간이 노동자로서의 지위를 잃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
우리는 이제 인간 존엄성을 지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노동'이 지니는 가치에 대해 생각해봐야 할 시점에 이르렀다.
'노동'은 더이상 정치적 목적을 위해 이용당하는 개념이 아닌, 우리의 생존권 차원으로 접근해야하는 개념이라고 생각한다.
Jane Gray 작가님의 더 많은 글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