Χ

추천 검색어

최근 검색어

일 시작한 지 2주가 조금 넘었다. 잠깐의 시간이지만 한국 직장 생활을 오래 해서 그런지 싱가포르 직장과 한국 직장의 다른 점이 생각보다는 일찍 보였다. 그래서 이번에는 싱가포르 직장과 한국 직장이 다른 점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 한다.

 

 

출신 국가가 중요하더라

 

한국 직장에서는 출신 국가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없었는데, 여기에 오니 내가 한국 출신인 게 자리를 잡는데 도움이 됐다는 걸 알게 되었다. 때문에 새삼 출신 국가의 중요성을 알게 됐다. 한국은 우리 회사 입장에서 보면 아시아에서 그리 큰 시장도 아니며 특별한 의미가 있는 시장도 아니다. 따라서 아시아 Cluster Role에 한국 사람을 앉히는 게 큰 메리트는 없다. 대부분의 외국계 회사에서도 유사한 상황일 것이다. 고객사가 삼성이나 하이닉스처럼 전 세계 1~2위 기업이라면 이야기가 달라지겠지만, 한국 주재 대부분의 외국계 회사에서 한국 지사는 아시아 지역 본부나 본사의 주목을 받기 어렵다. 하지만, 우리 팀에 이미 인도 출신이 한 명 있다. 때문에 비슷한 역량을 가진 사람이라면 인도 출신보다는 다른 나라 사람을 뽑는 게 팀의 다양성 측면에도 좋다고 내 상사가 판단한 것 같다. 그래서 인터뷰 과정에서 인도 출신 경쟁자를 물리치기가 수월했던 것 같다.

 

한국인에게는 영어 실력이 중요하더라

 

한국에서 일할 때 영어는 업무 보조 수단이었다. 한두 달에 한 번꼴로 외국 손님이 와야 영어를 사용했고, 그 외에는 영어가 필요 없었다. 그런데 지금은 100% 영어 사용 환경이 되었다. 사실 좀 피곤하다. 업무를 하는데 큰 지장은 없으나 더 효율적으로 일하려면 좀 더 정교한 단어 구사가 필요함을 벌써 느끼고 있다. 그런 면에서는 중국인이 부럽다. 내가 경험한 많은 중국인들은 영어 실력이 평범했다. 영어가 조금 부족해도 워낙 중국 시장이 크기 때문에 그 시장을 등에 업은 중국인이 아시아 지역 책임자 혹은 아시아를 커버하는 일을 차지하기가 상대적으로 용이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한국 출신은 영어가 부족하면 안 그래도 한국 사람에게 좀처럼 기회가 주어지지도 않는데, 아시아 Cluster Role에 도전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

 

 

눈치 보지 않는 재택근무 환경

 

2주째 재택근무를 하고 있는데 생각보다 할만하고, 업무 강도가 생각보다 높다. 내가 맡은 일은 집에서도 얼마든지 할 수 있는 일이라 더 그런 것 같다. 대략 20~30명가량의 Internal Stakeholder와 One on One 미팅을 시작했는데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으면 얼마든지 이야기 나눌 수 있어 큰 무리가 없었다. 예전에도 밝혔지만 이렇게 일을 준비해 나가는 과정은 얼마든지 재택근무로 커버 가능하다. 이렇게 업무적으로는 집에서 일하는 게 지금으로서는 큰 문제가 없다. 여기서 마음에 드는 점은 재택근무를 한다고 해서 지켜야 할 뭔가가 있는 게 아니라 좋다. 정시에 메신저에 로그인해야 하는 것도 아니고, 보고를 위해 상사와 정해진 시간에 꼭 전화를 해야 하는 것도 아니다. 그저 상사와는 이틀에 한 번 30분 ~ 1시간 전화로 회의를 하면서 진행상황을 체크하고 있다. 전적으로 직원을 믿고 재량에 맡기는 게 당연한 분위기다.

 

 

끝없는 콜, 콜, 콜...

 

재택근무라 그런 것도 있지만 정상적인 업무가 진행된다 하더라도 클러스터 마케팅 업무 특성상 대부분의 회의는 콜(전화회의)로 진행된다. 클러스터 마케팅 조직이 아시아 각국에 흩어져 있기 때문이다. 그냥 듣기만 해도 되는 콜도 있지만 대부분의 콜이 나의 필요에 의해 내가 상대방에게 시간을 요청해 이루어지다 보니 부담스러울 때도 있다. 특히 내 Role을 셋업 하는데 가장 중요한 각국 마케팅 디렉터와의 콜이 그렇다. 콜을 통해 각국 마켓 상황은 어떤지 그리고 내 Role에 대한 그들의 니즈는 뭔지 파악을 하다 보니 신경이 많이 쓰인다. 콜이 끝나면 바로 회의록을 작성해서 보내고 그에 대한 피드백까지 받다 보니 신경을 안 쓸 수가 없는 상황이다. 사실 이렇게 일하는 게 거의 처음이라 어색할 법도 한데 그럴 여유는 누리지 못하는 것 같다. 이제 겨우 입사 3주 차가 되는데 다음 주 4일 동안 콜이 10개나 잡혔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사실 지금 한참 사무실에서 사람들과 부딪히면서 잡담도 하면서 이직을 즐겨야 할 시기에 홀로 집에서 근무하니 김이 새긴 하지만, 생각보다 내 Onboardning 과정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어 다행이다. 정말 순조로운지는 상사의 피드백도 들어봐야 알 텐데, 상사의 기대치를 훌쩍 넘어서는 것도 기대에 훨씬 못 미치는 일도 없었으면 좋겠다. 내가 충분히 할 수 있는 일을 맡았다는 생각이 든다. 굵직한 Milestone 2~3개만 남긴다는 생각으로 내 페이스대로 일하려 한다. 내가 하는 일에 영향을 받을 사람이 적게는 마케팅 부문에만 20명 정도, 세일즈 부문까지 범위를 넓히면 족히 족히 50명은 되기 때문에 나 혼자 뛴다고 될 일이 아니다. 욕심 내지 말고 누가 알아주든 알아주지 않든 비즈니스에 도움이 될 Milestone을 만들어 가는 과정을 즐겨보려 한다.



더보기

깜작가님의 시리즈


최근 콘텐츠


더보기

기업 탐색하기 🔍

머크 코리아

여러분만의 특별한 재능으로 머크와 함께 마법을 펼쳐보세요! 커리어 여정을 계속해서 탐험하고, 발견하고, 도전할 준비가 되셨나요? 커리어에 대한 열정으로 가득한 여러분처럼, 머크도 거대한 포부로 가득하답니다! 머크의 전 세계에 있는 구성원들은 과학 기술의 혁신으로 헬스케어, 생명과학, 그리고 전자소재 부문에서 사람들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고 있습니다. 머크의 구성원들은 한마음이 되어 고객, 환자, 인류, 더 나아가 지구의 지속 가능함을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머크가 호기심 가득한 인재를 원하는 이유랍니다, 호기심은 모든 것을 상상할 수 있게 만드는 원동력이니까요. 머크는 1668년 독일의 약국에서부터 시작하였으며, 화학 사업까지 확대하면서 현재 제약, 생명과학, 전자소재 세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현재에는 연 매출 약 30조원 (2022년 기준)을 기록하는 세계적인 대기업이 되었으며, 약 6만 4천명의 직원들이 66개국에서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여 과학 기술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1989년에 설립되어 올해로 34주년을 맞이하게 된 머크 코리아는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에 위치한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이를 비롯해 13개의 연구소 및 공장에서 약 1,700명의 직원분들과 함께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바이오, 디스플레이, 그리고 반도체 강국인 우리나라에서 머크 코리아는 생명과학과 전자소재 비즈니스의 핵심 허브의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제조/화학/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