Χ

추천 검색어

최근 검색어

오늘은 면접에 대한 내용이다.
강선생의 모의면접을 할 때도 종종 봤던 사례다.
 
자소서를 보면서 지원자에게
이런저런 질문을 하곤 한다.
 
세 종류의 지원자로 나뉜다.
 
확신을 가지고 말하는 지원자.
어물쩡 대답을 곧 잘하는 지원자.
대답을 못하는 지원자.
 
이 중에 가운데 케이스에 대한 이야기다.
 

[대충 앎]
어물쩡 넘기는 지원자의 경우,
그에 대해 구체적으로 물으면
추상적이고 모호한 대답을 하곤 한다.
 
왜 그럴까?
대충 알기 때문이다.
 
자기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도 그렇다.
 
왜 그럴까?
자신에 대해서도 대충 알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이런 거다.
여행을 좋아한다고 하길래
여행을 왜 좋아하는지,
여행이 당신에게 어떤 가치가 있는지 물으면
제대로 답하지 못하고,
대충 얼버무리는 식이다.
그냥.. 여행은 기분 좋아요
물론 그게 맞을 수도 있지만
사람을 채용해야 하는 기업 입장에서는
이 사람에 대해서 전혀 파악할 수 없는 답변이다.
 
여행을 좋아한다는 단순 정보로는
아무것도 파악할 수 없기 때문이다.
 
[Fact와 Informaton]
불합격하는 사람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특히나 자소서에서
단순 사실과 정보를 많이 쓴다는 것이다.
 
Fact는 정말 보기 드문 스펙이 아니면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하버드 전교 수석? 세계대회 우승?)
 
여행을 좋아하면 그에 대한 생각,
도전을 중요시한다면 도전에 대한 철학 등
 
Fact와 Information에 대한
자신만의 해석이 중요하다.
사례는 해석에 대한 양념이다.
사례 자체는 아무런 의미도 없다.
 
그래서 해석 없는 단순 사실과 정보의 나열은
큰 의미가 없다.
 
사실과 정보만 나열하는 것은
자신만의 생각이 부족하다는 것이고
생각이 부족하다 보니 대충 알게 되고,
대충 아니 모호하게 말하게 된다.
 
아예 모른다고도 할 수 없다.
대충은 알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충 안다는 건
모르는 거나 마찬가지다.
 
[헷갈리는 건 모른다는 것]
대충 알면 상황에 따라 헷갈릴 수밖에 없다.
헷갈리면 남들에게 휘둘릴 수밖에 없다.
 
그리고 헷갈리면 무책임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대충 말하고 결과가 나쁠 때
잘 몰랐다고 하면 장땡이기 때문이다.
 
자신에 대한 것이든 일에 대한 것이든
대충 아는 사람을 뽑았다고 치자.
 
업무를 하는데 대충 알고 있어서
A를 해야 할 때 B를 할 수도 있고
B를 해야 할 때 A를 할 수 있다.
잘못됐을 땐 잘 몰랐다고 둘러될 확률도 크다.
 
물론 확률상 맞게 할 수도 있겠지만
기업 입장에서는 5:5의 실패 확률이 있는
사람을 뽑는 리스크를 감수하진 않을 것이다.
 
결국 헷갈려한다는 건 모른다는 걸로 쳐야 한다.

이 메커니즘은 평가에서도 동일하다.
 
자소서를 아주 못쓰는 사람과
자소서를 대충 나쁘게 쓰지 않은 사람과
자소서를 아주 잘 쓴 사람
 
면접을 아주 못 본 사람과
면접을 대충 나쁘게 보지 않은 사람과
면접을 아주 잘 본 사람
 
대충 나쁘지 않게 쓰거나 봤다고
만족하는 사람들이 종종 있다.
만족하면 안된다.
 
잘 쓰거나 잘 보지 않으면
둘 다 떨어지는 건 매한가지기 때문이다.
 
결국,
자소서든 면접이든 구체적으로 물어봤을 때,
똑 부러지게 대답할 수 있어야 한다.
 
대충 얼버무리거나, 버벅 거린다던가
압박 질문에 대답의 기조를 바꿔버린다면
생각을 깊게 해보지 않은 사람,
즉, 모르는 사람으로 평가받기 마련이다.
 
대충 알지 말고, 제대로 알아보자.
그게 나 자신이든 회사나 업무에 대해서든 말이다.

[강선생의 자기탐색을 통한 진로상담]
[강선생의 심리분석 자소서 피드백]
[강선생의 촌철살인 모의 면접]
[강선생의 심리를 꿰뚫는 자소서 특강]
신청하기 : 카카오톡 ID @kangsunseng




강선생 작가님의 더 많은 글 '보러가기'



더보기

강선생님의 시리즈


최근 콘텐츠


더보기

기업 탐색하기 🔍

머크 코리아

여러분만의 특별한 재능으로 머크와 함께 마법을 펼쳐보세요! 커리어 여정을 계속해서 탐험하고, 발견하고, 도전할 준비가 되셨나요? 커리어에 대한 열정으로 가득한 여러분처럼, 머크도 거대한 포부로 가득하답니다! 머크의 전 세계에 있는 구성원들은 과학 기술의 혁신으로 헬스케어, 생명과학, 그리고 전자소재 부문에서 사람들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고 있습니다. 머크의 구성원들은 한마음이 되어 고객, 환자, 인류, 더 나아가 지구의 지속 가능함을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머크가 호기심 가득한 인재를 원하는 이유랍니다, 호기심은 모든 것을 상상할 수 있게 만드는 원동력이니까요. 머크는 1668년 독일의 약국에서부터 시작하였으며, 화학 사업까지 확대하면서 현재 제약, 생명과학, 전자소재 세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현재에는 연 매출 약 30조원 (2022년 기준)을 기록하는 세계적인 대기업이 되었으며, 약 6만 4천명의 직원들이 66개국에서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여 과학 기술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1989년에 설립되어 올해로 34주년을 맞이하게 된 머크 코리아는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에 위치한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이를 비롯해 13개의 연구소 및 공장에서 약 1,700명의 직원분들과 함께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바이오, 디스플레이, 그리고 반도체 강국인 우리나라에서 머크 코리아는 생명과학과 전자소재 비즈니스의 핵심 허브의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제조/화학/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