Χ

추천 검색어

최근 검색어

면접에는 많은 유형의 사람들이 존재한다.
너무 긴장한 나머지 양 목소리를 내는 사람.
기계처럼 외워온 걸 줄줄 말하는 사람.
왜 왔는지 모르겠는 사람.
허세 부리는 사람.
등등...
 
뭐 떨어지는 이유는 다양하겠지만 서도
면접관을 열 받게 해서 떨어지는
당황스러운 경우도 있다.
바로 면접관을 평가하려고 할 때다.

[평가]
물론 상호 평가는 필요하다.
지원자는 이 회사가 어떤지 평가를 해서
나와 맞는지 알아봐야 하고
회사는 이 지원자가 어떤지 평가를 해서
우리 회사와 맞는지 알아봐야 한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우수한 역량을 가진 사람들이
주로 면접관으로 들어간다.
 
뛰어난 경력직의 경우엔
이미 업계에서 인정받은 사람일 수 있다.
그 사람은 대놓고 회사를 평가할 수도 있다.
모든 회사에서 데려가려고 난리기 때문이다.
 
하지만 신입의 경우엔 다르다.
슈퍼천재울트라캡숑 신입이 아닌 이상 말이다.
 
왠만해서는
신입이 면접관보다 역량이 뛰어나기란 쉽지 않다.
 
그 상황에서
면접관을 평가하려는 행동은
불합격으로의 지름길이다.
 
[질문]
질문은 참 좋다.
지원자가 면접관에게 질문을 해서
합격할 수 도 있다.
단, 좋은 질문일 경우에만 말이다.
 
안 좋은 질문+평가가 합쳐지면
100% 불합격+면접관의 분노를 받게 된다.
 
예를 들면 이런 거다.
면접관님께 질문하나 드려도 될까요?
바다에 VIP 고객과 사장님이 빠지면
누굴 먼저 구하실 건가요?
 
뭔가 당황스럽다.
업무 관련 질문도 아닌 것이
면접관이 면접을 보는 기분이다.
왜 그런 질문을 하냐고 물으면 이렇게 대답한다.
 
책에서 봤는데 이렇게 답하면 이런 거고
저렇게 답하면 저런 거라고 합니다.
 
멘붕이다.
책에서 본 내용으로
면접관을 평가하려고 한 것이다.
 
사실 지원자의 의도는 아마 이랬을 것이다.
이 책이 업무 관련해서는
유명한 회장이 쓴 책이니깐
이 일화를 차용해서 질문하면
좋게 보이겠지?
 
그런 의도였다면 차라리 자기소개나
면접 질문 중간에 녹여서 했다면 먹혔을 것이다.
 
추상적인 이야기에 대하여
자기 생각을 어필한 게 아니라
면접관의 생각을 평가하려 했던 지원자...
 
 
결국 이 지원자는 면접 후에
면접관들 사이에서 엄청난 분노와 함께 광탈했다.

명심해야 할 것은 간단하다.
 
신입이라면 면접관을 평가하려 하지 마라.
단, 당신이 슈퍼천재울트라캡숑 신입이라면 괜찮다.
 
업무와 관련 없는 철학적 질문은 하지 마라.
단, 좋은 질문은 철학적이어도 괜찮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은 것들 말이다.
"책에서 보니 일반적으로 디자이너에겐
 이런 거, 저런 거, 그런 거의
디자인 철학이 있다고 하는데요.
이 회사에서는 실제 업무를 할 때
어떤 디자인 철학을 가지고 업무를 하는지
개인적으로 참 궁금했습니다.
여쭤봐도 될까요?"

강선생과 대화하고 싶다면?
강선생에게 상담/코칭/힐링/컨설팅 문의를 하고 싶다면?
카카오톡 ID : @kangsunseng
 
강선생의 브런치 : http://www.brunch.co.kr/@kangsunseng
강선생의 블로그 : http://www.blog.naver.com/miyakekgy
강선생의 페이스북 : http://www.facebook.com/kangsunseng
 
나를 알기 전보다
나를 알고 난 후에
당신의 삶이 더 좋아지기를



강선생 작가님의 더 많은 글 '보러가기'


더보기

강선생님의 시리즈


최근 콘텐츠


더보기

기업 탐색하기 🔍

머크 코리아

여러분만의 특별한 재능으로 머크와 함께 마법을 펼쳐보세요! 커리어 여정을 계속해서 탐험하고, 발견하고, 도전할 준비가 되셨나요? 커리어에 대한 열정으로 가득한 여러분처럼, 머크도 거대한 포부로 가득하답니다! 머크의 전 세계에 있는 구성원들은 과학 기술의 혁신으로 헬스케어, 생명과학, 그리고 전자소재 부문에서 사람들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고 있습니다. 머크의 구성원들은 한마음이 되어 고객, 환자, 인류, 더 나아가 지구의 지속 가능함을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머크가 호기심 가득한 인재를 원하는 이유랍니다, 호기심은 모든 것을 상상할 수 있게 만드는 원동력이니까요. 머크는 1668년 독일의 약국에서부터 시작하였으며, 화학 사업까지 확대하면서 현재 제약, 생명과학, 전자소재 세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현재에는 연 매출 약 30조원 (2022년 기준)을 기록하는 세계적인 대기업이 되었으며, 약 6만 4천명의 직원들이 66개국에서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여 과학 기술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1989년에 설립되어 올해로 34주년을 맞이하게 된 머크 코리아는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에 위치한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이를 비롯해 13개의 연구소 및 공장에서 약 1,700명의 직원분들과 함께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바이오, 디스플레이, 그리고 반도체 강국인 우리나라에서 머크 코리아는 생명과학과 전자소재 비즈니스의 핵심 허브의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제조/화학/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