Χ

추천 검색어

최근 검색어

 자소서 작성법 강의에서 한 꼭지로 모호하고 추상적으로 쓰지말라는 말을 강조하곤 한다. 모호하고 추상적으로 쓰다보면 글이 불필요하게 길어지고, 동문서답을 하기 때문이다. 예를들어 '당신의 강점은 무엇입니까'라는 질문에 '분석력', '논리성' 등으로 명료하게 답하는게 아니라 '대학교에서 동아리 총무를 맡으면서 꼼꼼하게 업무를 처리하는 법을 배웠고, 졸업한 선배들과 교류를 통해 인사이트를 키울 수 있었습니다'라는 식으로 모호하게 답한다는 말이다.

 

 그래서 모호하게 혹은 추상적으로 쓰지말라는 팁을 주는데, 정작 취준생들이 글을 쓸 때에는 막막하게 생각하기 마련이다. 냉정하게 말하면 모호하게 글을 쓴다는 말은 아직 내가 무슨 말을 해야 할지에 대해 정리가 안됐다는 말이다. 그걸 숨기기 위해 광범위하게 이야기하거나 다른 이야기를 주절주절 하게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한 학생이 이런 팁을 배우고 나서 자소서를 써서 피드백을 요청해 왔다. 모호하게 쓰지말고 구체적으로 예리하게 쓰라고 해서 굉장히 구체적으로 내용을 작성했다. 커뮤니케이션이 강점이라고 해서 자신이 인턴을 하면서 커뮤니케이션 했던 사례를 굉장히 구체적으로 적은 것이다. 근데 이것 또한 좋지 않은 글쓰기다. 구체적으로 적으라는 말이 사례를 구체적으로 적으라는 말이 아니다. 면접관은 지원자가 "대방동 울트라캡숑에이스파워 조기 축구회 7기 총무를 3년 7개월 간 역임"했다는 사실에 전혀 관심이 없기 때문이다. 사례를 구체적으로 적는 순간, 글은 굉장히 지루하고 읽기 싫어진다.

 

 모호하게 적지 말고 구체적으로 글을 쓰라는 말은 생각과 철학을 구체적으로 쓰라는 말이다. 단연코 사례를 구체적으로 쓰라는 말이 아니다. 커뮤니케이션이 강점이라고 한다면 자신이 생각하는 커뮤니케이션이란 무엇인지, 커뮤니케이션을 잘한다는 건 무엇인지, 어떤 역량이 중요한지에 대한 자신의 만의 관점을 구체적으로 이야기 해야한다. 그 뒤에 보조적인 근거자료로서 사례를 간략히 넣는 것이다. 사례가 메인이 되서 구체화되면 안된다.

 

 자신의 생각과 철학을 구체적으로 쓰기 위해선 결국 나 자신에 대해 알아야 한다. 내가 어떤 생각을 하고 어떤 방향으로 XX을 보는지에 대해 정립이 되어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내가 어떤 사람인지 알아차리지 못한 사람은 자소서 쓰기가 어려울 수 밖에 없다. 내가 누구인지 모르는데 어떻게 소개를 할 수 있을까? 나를 알아차리는 게 먼저이고, 그게 됐다면 질문에 대해 구체적이고 예리하게, 명료하게 작성하면 될 뿐이다.

 

 

 

강선생 작가님의 더 많은 글 '보러가기'



더보기

강선생님의 시리즈


최근 콘텐츠


더보기

기업 탐색하기 🔍

머크 코리아

여러분만의 특별한 재능으로 머크와 함께 마법을 펼쳐보세요! 커리어 여정을 계속해서 탐험하고, 발견하고, 도전할 준비가 되셨나요? 커리어에 대한 열정으로 가득한 여러분처럼, 머크도 거대한 포부로 가득하답니다! 머크의 전 세계에 있는 구성원들은 과학 기술의 혁신으로 헬스케어, 생명과학, 그리고 전자소재 부문에서 사람들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고 있습니다. 머크의 구성원들은 한마음이 되어 고객, 환자, 인류, 더 나아가 지구의 지속 가능함을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머크가 호기심 가득한 인재를 원하는 이유랍니다, 호기심은 모든 것을 상상할 수 있게 만드는 원동력이니까요. 머크는 1668년 독일의 약국에서부터 시작하였으며, 화학 사업까지 확대하면서 현재 제약, 생명과학, 전자소재 세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현재에는 연 매출 약 30조원 (2022년 기준)을 기록하는 세계적인 대기업이 되었으며, 약 6만 4천명의 직원들이 66개국에서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여 과학 기술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1989년에 설립되어 올해로 34주년을 맞이하게 된 머크 코리아는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에 위치한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이를 비롯해 13개의 연구소 및 공장에서 약 1,700명의 직원분들과 함께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바이오, 디스플레이, 그리고 반도체 강국인 우리나라에서 머크 코리아는 생명과학과 전자소재 비즈니스의 핵심 허브의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제조/화학/통신